“결국 부산시 사업에 들러리만 서는 꼴 아닌가?”
양산시가 부산시 등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뱃길복원사업이 양산시에 실익이 없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양산시가 자체 사업비를 투입해 선착장 2곳을 건설할 예정이지만 선박 운항과 수익금 분배 등 운영 전반을 부산시가 전담하기 때문이다.
낙동강 뱃길복원사업은 낙동강 문화관광루트 사업의 하나로, 부산시와 경남도가 현안조정회의를 통해 공동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부산 을숙도대교 나루터에서 창녕군 창녕ㆍ함안보까지 68.5km의 뱃길을 복원해 유람선을 운항하는 800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현재 계획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유람선을 운항할 예정인 가운데 옛 낙동강 나루터인 하단과 삼락, 구포, 화명, 안막진, 창암, 물금, 용당, 오우진, 수산, 학포, 임해진 등 12곳의 나루터가 복원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양산지역은 물금읍(황산체육공원)과 원동면(가야진사)에 나루터가 세워질 예정이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부잔교 형식의 나루터 2곳 복원에 각각 15억원씩 모두 3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갈 것으로 보고, 내년 당초예산에 20억원을 우선 확보한 뒤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달 중 실시설계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1월 관계기관 협의를 거친 뒤 3월 착공해 정기운항 전인 6월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양산시의회에서 낙동강 뱃길복원사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영호 의원(새누리, 상북ㆍ하북)은 수익구조를 문제 삼았다. 최 의원은 “현재 협의대로라면 양산시가 유람선 운항에 따른 수익금을 분배받을 수 없다”며 “양산시가 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앞으로 나루터를 유지ㆍ관리해야 하는데, 이는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뱃길복원에 따른 수자원 관리 문제도 거론됐다. 김종대 의원(새누리, 양주ㆍ동면)은 “수자원공사측이 원동취수장보다 북쪽으로 유람선(동력선)을 운항하는데 난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뱃길복원사업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람선이 관광자원이 몰려 있는 원동지역까지 운항하지 않으면 수익성이 없는 만큼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양산시 관계자는 “양산시도 뱃길복원사업이 원동지역까지 이어져야만 수익성이 있다는 것에는 부산시와 원칙적으로 같은 생각”이라며 “수자원 관련 내용은 법률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협의 사안이기 때문에 수자원공사와 원만히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김효진 의원(새누리, 물금ㆍ원동ㆍ강서)은 나루터 복원을 전액 시비로 추진하는 것에 의문을 나타냈다. 김 의원은 “뱃길복원사업이 양산시 의지와는 상관없이 부산시와 경남도의 협의에 따라 추진하는 것이라면 나루터 복원에 따른 사업비도 도비를 지원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낙동강 뱃길복원사업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자 서진부 의원(무소속, 서창ㆍ소주)은 양산시에 물금과 원동나루터 복원에 따른 관광객 유치의 부수효과와 낙동강 취수원 보호 대책 등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