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발전연구원이 문화유산 활용을 통한 농어촌지역 활성화 사업이 제대로 된 성과를 낳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콘텐츠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은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경남 농어촌 활성화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문화유산 발굴과 스토리텔링 강화, 콘텐츠 활용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양산시 역시 지역 내 유ㆍ무형유산을 바탕으로 농촌 활성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남발전연구원에 따르면 양산지역에는 국보 1건을 포함 41건의 국가지정문화재와 105건의 도지정문화재가 존재한다. 이는 진주시(149건) 다음으로 가장 많은 지정문화재다. 그만큼 지역 내 문화유산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을 통한 지역 농어촌 활성화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현재 양산은 녹색농촌체험마을 2곳, 농촌전통테마마을, 정보화마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각각 1곳 등 5곳의 농어촌 체험ㆍ휴양마을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이들 사업이 농촌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실제 농가 소득 증대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뿐더러 관광객 증가도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현재 경남지역에는 문화유산을 활용한 농어촌지역 활성화 사업이 전개 중이지만 그 성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이유로는 유ㆍ무형 문화유산을 활용한 사업운용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고유화가 부족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지역주민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크게 부족하고 마을 노령화와 사업을 이끌어 나갈 ‘리더’의 부재도 문제다. 따라서 리더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체계적 육성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지역의 경제ㆍ문화ㆍ사회적 여건과 주민 역량, 참여도 등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며, 사업계획 수립에서 세부실천 방안과 지속성, 그리고 실현가능성이 분명하게 담보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양산시에서도 농어촌관광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방향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