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시, 악취저감시책 가시적 효과..
사회

양산시, 악취저감시책 가시적 효과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3/12/10 09:32 수정 2013.12.10 09:32
악취 민원 3년 만에 급감



양산시가 각종 환경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대기질 개선에 가시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시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건강도시 실현을 위해 환경정책을 역점 추진한 데 따른 성과로 분석하고 있다.  

공단을 끼고 있는 양산시는 2007년부터 물금신도시에 주민이 입주하면서 빈번해진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유발 사업장에 대한 측정을 강화했으나 배출허용기준 안에 들고 악취방지법상 악취관리지역 지정에도 요건이 안돼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민선 5기 들어 악취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악취 유발 사업장에 책임공무원을 두고 주민과의 간담회를 비롯해 악취 원인 분석과 업체 지도단속ㆍ설득 등의 노력을 통해 악취 저감을 위한 시설 투자(13개 업체 총 106억 원)를 유도했으며, 지난 1월에는 8개 업체와 자발적 악취감축협약을 체결해 2011년 대비 50% 악취 감축을 목표로 2015년까지 30여억원을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신도시지역 악취 민원 80% 정도를 차지하던 양산공단 식료품과  고무제품 제조업체의 경우 지방산과 고무냄새가 배출구 공기희석배수 기준으로 2011년 300배에서 올해 173배로 배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2010년 130건, 2011년 107건에 달하던 악취 민원이 2012년 57건으로 급감했고, 올해 들어서는 신도시지역 악취민원이 거의 접수되지 않았다.

양산시는 또 물금신도시 입구 워터파크와 북정공단 입구 등 2곳, 양산공단과 소주공단 내 악취 유발 사업장 10곳에는 악취 정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고 있다. 이 시스템의 측정결과는 스마트폰앱을 통해 담당 공무원과 기업체 관계자에게 실시간 제공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일반 시민에게도 공개될 예정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단순한 처벌 위주의 사후약방문식 대책으로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선을 기대하는데 한계가 있어 기업과 행정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환경개선을 위한 투자를 늘려가는 것으로 성과를 보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의 건강도시 정책과 연계해 환경시책을 추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