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양산 지역생활권 부산ㆍ울산과 한 묶음..
정치

양산 지역생활권 부산ㆍ울산과 한 묶음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4/02/11 09:15 수정 2014.02.11 09:15
경남 생활권 제외… 입지ㆍ교통ㆍ경제 연계성 고려

인근 부산ㆍ울산 중심중추도시권에 중복 포함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핵심사업인 지역행복생활권 구성에서 양산시가 경남도가 아닌 부산ㆍ울산생활권으로 분류됐다. 행정권과 달리 생활권은 부산ㆍ울산에 가깝다는 것을 정책적으로도 인정한 것이다.  

지역행복생활권은 이웃 시ㆍ군간 연대를 통해 생활인프라, 일자리창출, 교육ㆍ문화ㆍ체육ㆍ복지 서비스를 불편 없이 누릴 수 있는 생활권을 묶은 것으로, 2~4개 정도의 시ㆍ군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근 시ㆍ군과의 통행량 비중, 접근성, 산업경제 연계성, 주민 인식 등을 고려해 지자체가 서로 합의해 설정했다.

경남도는 도내 시ㆍ군을 5개 지역행복생활권으로 분류하고, 창원ㆍ김해ㆍ함안을 동부중추도시생활권, 진주ㆍ사천ㆍ남해ㆍ하동을 서부중추도시생활권, 통영ㆍ거제ㆍ고성을 도농연계생활권, 산청ㆍ함양ㆍ거창을 서북부농어촌생활권, 합천ㆍ의령ㆍ창녕ㆍ밀양을 동북부농어촌생활권으로 묶었다.

하지만 양산시는 경남의 생활권에 포함되지 않고, 부산ㆍ김해ㆍ울주와 함께하는 부산중심중추도시생활권과 울산ㆍ밀양ㆍ경주와 함께하는 울산중심중추도시생활권 등 두 개의 생활권에 중복 포함됐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양산시의 의사를 존중하면서 부ㆍ울ㆍ경 지역 특수성에 입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산시는 “부산ㆍ울산과 30분 거리의 지리적 입지, 높은 산업경제 연계성, 교통(광역환승, 도시철도), 공공서비스(세무, 법무행정) 등 각종 주민 서비스가 공동으로 이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난 4일 울산시청에서 나동연 양산시장과 박맹우 울산시장, 엄용수 밀양시장, 최양식 경주시장이 만나 울산중심중추생활권 구성 MOU를 체결했으며, 앞서 지난달 28일에는 부산중심중추생활권 도시들과 서면으로 MOU를 맺었다.  

한편, 지역발전위원회 등 중앙정부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에 9개 부처 128개 생활권별 연계사업과 지자체별 밀착사업에 8조1천억원의 예산을 편성할 계획이며, 올해는 650억원의 선도 사업을 집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앞으로 2개 권역으로 구성한 각각의 생활권 연계협력사업과 주민생활과 밀착된 사업을 2월 말까지 발굴하고, 부산ㆍ울산생활권 도시와 공동으로 시ㆍ도별 발전계획을 수립해 지역발전위원회에 3월 말까지 제출할 방침이다.

시ㆍ도 발전계획은 지역발전위원회 검토를 거쳐 6월 국무회의 심의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