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가구 월평균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26.8%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뒤를 이어 100만원 미만이 19.9%, 100~200만원 미만이 19.5%로 뒤를 이었다. 평균 지출은 100~200만원 미만이 29.3%로 가장 많았다.
장래 가구 소득 전망은 많이 나아짐(4.7%), 조금 나아짐(30.0%), 전과 동일(48.7%) 등 긍정 답변이 83.4%였다.
경남도는 도민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관적 의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인구, 교육, 환경, 사회 등 10개 부문 38개 항목에 대해 도내 1만2천54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13년 경남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38개 기본 항목에 양산시를 포함해 창원시, 진주시, 거제시,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등 7개 시ㆍ군 31개 특성항목을 반영했다.
조사 결과 결혼 후 내 집 마련까지는 평균 9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100가구 가운데 81가구가 15년 이내에 주택을 마련했다. 주택 마련 방법은 100가구 중 78가구가 융자(36.8%)나 저축(31.8%)인 것으로 조사됐다.
맞벌이 가구는 2010년 45.4% 대비 0.5% 증가한 45.9%로 나타났고, 여성취업 장애요인으로는 사회적 편견과 관행(22.2%) 등 의식문제보다 자녀 육아 부담(39.4%)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 1인당 교육비 평균 지출액은 238만7천원이었으며, 하숙ㆍ자취ㆍ기숙사비가 393만7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납입금(322만2천원)과 보충교육비(240만2천원)가 뒤를 이었다. 자녀 교육비에 대해서는 71.7%가 부담이라고 답했고, 가장 지출이 많은 하숙ㆍ자취ㆍ기숙사비(4.6%)보다 보충교육비(69.4%)를 더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소득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응답자(51.9%) 100명 가운데 57명은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지방자치단체가 우선 처리해야 할 사항으로 실질소득을 위한 물가안정 대책(40.8%)과 실업문제 해결을 위한 고용정책 추진(19.5%)을 많이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수도, 하수도, 소음ㆍ진동, 악취, 대기, 토양, 하천, 해양 등 8개 부문에서 거주지 환경상태는 전반적으로 좋다고 평가했지만 대중교통에 불만을 나타낸 응답자(28.3%)는 배차시간(28.3%)과 정류장까지 거리(21.2%)가 불만이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 대해 경남도는 “도민 의식변화를 파악하는 경남 사회조사가 주관적 사회지표를 생성할 수 있는 유일한 통계조사”라며 “도민을 위한 복지정책 추진 등 도정시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가치가 아주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