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충전소가 문을 닫아 지역 내 천연가스(CNG) 시내버스가 연료를 보충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현재 양산지역에는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다. 이 때문에 천연가스 버스 연료 충전을 위해 한국가스공사가 시내버스 회사인 (주)세원 차고지에 이동식 충전소(사진)를 설치ㆍ운영하고, 버스 50대가 이곳에서 연료를 보충해 왔다.
그런데 한국가스공사가 지난달 31일 양산시에 ‘도시가스충전사업 폐업’을 신고했다. 기획재정부가 충전소 운영ㆍ관리를 위해 매달 지원하던 1억원가량 비용지원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지난 5일 폐업신고를 수리했고, 해당 충전소는 12일 0시부터 충전소 운영을 중단했다.
이동식 충전소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양산시 환경관리과는 “원래는 이동식 충전소는 지난 2010년 지원이 끝나는 건데 공용차고지 건립이 늦어지는 바람에 환경부를 설득해 겨우 지원을 연장해 온 것”이라며 “이제 더는 예산이 없어서 지원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충전소가 문을 닫음에 따라 천연가스 시내버스 50대의 연료 보충이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결국 50대의 시내버스는 연료보충을 위해 부산시 북구 금곡동에 위치한 충전소까지 가야 한다.
버스업체 “시 예산 지원으로 해결 가능”ⓒ
양산시 “시민 불편 뻔하지만 예산 없다”
(주)세원은 “만약 이동충전소가 문을 닫게 되면 하루 50대의 차량이 왕복 1시간 거리인 금곡까지 가서 충전해야 하는데, 차량 운행 횟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며 “버스 운행을 줄이면 배차 간격이 길어지고,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이 받게 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연료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버스 기사 휴식 시간과 버스 정비 시간이 크게 줄어 사고 위험도 커진다”며 “내년 준공하는 공영차고지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생길 때까지라도 양산시가 지원해 주면 시민 불편 없이 현행대로 유지할 수 있다”고 요구했다.
현재 가스 운송비용과 충전소 관리원 임금 등 이동식 충전소 운영에 필요한 금액은 1년에 10억원 정도다. 늦어도 내년 연말 공영차고지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완공된다고 가정하면 최대 15억원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양산시 교통정책과는 “결과적으로 버스 운행을 줄이는 건 어쩔 수 없고, 버스 이용에 불편을 겪는 시민이 발생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연료 충전을 출ㆍ퇴근 시간에 하는 게 아닌 만큼 낮에 차량 운행을 1회 정도 줄이면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이어 “버스가 금곡까지 가서 충전하는 데 드는 비용은 연간 2~3억원 정도”라며 “그 정도 수준이면 기존 시내버스 재정지원으로 충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주)세원은 단순히 버스 충전에 드는 비용이 문제가 아니라 운행 횟수가 줄어듦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감소가 더 문제라는 입장이다.
(주)세원은 “운행 감소로 버스 회사 수익이 감소하면 결국 지자체에서 재정지원을 할 수밖에 없는데 이 금액만 11억6천만원 정도”라며 “차라리 이 비용으로 이동식 충전소를 지원하면 시민 불편도, 운행 안전도 다 해결될 문제인데 양산시가 충전소 폐업을 너무 안일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