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전 9시 35분께 원동면 함포마을에서 주택 화재가 발생해 홀로 생활하던 정아무개(72) 씨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홀몸 어르신이 주변 무관심 속에서 고립돼 사망하거나 힘든 생활을 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관심은 물론 지자체 차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실제 경남발전연구원에서는 최근 ‘경남 독거노인 자립생활 서비스 지원방안’이란 보고서를 통해 “홀몸 어르신에 대한 주거, 사회적 단절, 복지사각지대 등 통합적 위기 진단이 필요하며, 앞으로 지역 차원에서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 경남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홀몸 어르신 비중이 전남(25.7%)에 이어 2위(25.3%)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산은 전체 어르신 가운데 홀몸 어르신 비율이 2012년 기준 25.6%(6천630명)로 도내 8개 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양산시는 양산시종합사회복지관을 시행 기관으로 지난 2012년 4월부터 만 65세 이상 홀몸 어르신 1천506세대를 대상으로 ‘독거노인 응급안전 돌보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활동량 감지장치와 가스ㆍ화재감지장치 등 각종 감지장치를 홀몸 어르신 거주 공간에 설치해 어르신 활동이 1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지역센터로 관련 내용을 전송하고, 보고를 받은 지역센터는 안전돌보미를 출동시켜 초기에 응급처치 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홀몸 어르신 6천600여명 가운데 1천700여명 정도만 사업 혜택을 받고 있어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독사방지위원회(가칭) 설치를 추진 중인 박대조 양산시의원(새정치민주연합, 서창ㆍ소주)은 “현재 양산은 홀몸 어르신 응급안전 돌보미 사업 등 고독사 방지를 위한 기본 틀은 갖춰져 있다”며 “적어도 양산에서 만큼은 혼자 사시다 돌아가신 후 나중에 발견되는 일이 없도록 희망하는 사람은 모두 응급안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사업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양산시와 논의해 조례를 통해 사업 확대 근거를 마련하고 먼저 의료서비스가 낙후된 웅상지역부터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남발전연구원 연구진은 “기존 노인돌봄서비스 등으로 홀몸 어르신 고독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서비스 제공인력 노동조건 개선과 역량 강화, 사례서비스 체계화, 공식ㆍ비공식 홀몸 어르신 지지망 구축 등은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이어 “선진국 홀몸 어르신 지원정책과 국내사례를 분석한 결과 홀몸 어르신 서비스 양적 확대가 아닌 질적 확대가 필요하고 지역사회 내 조직 간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실생활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서비스가 제공돼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 모색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연구진은 ▶기능상실 예방을 위한 노인 주체적 자립 강화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현장밀착형 지원 구축 ▶복지 욕구 다양화를 통한 적극적 1인 가구 지원 등을 방안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