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버스 한 번 놓치면 8시간 발 묶여..
사회

버스 한 번 놓치면 8시간 발 묶여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4/08/19 10:48 수정 2014.08.19 10:46
버스 배차시간 변경에 시민 피해 속출

원동지역 낮 시간대 8시간 버스 전무

홍보 안 돼 일부 시민 마냥 기다리기도



천연가스 버스 충전소 폐업으로 결국 버스 운행이 38회 줄었다. 편도 노선으로 계산하면 76회가 줄어든 셈이다. 이에 배차 간격이 넓어졌고, 원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8시간 동안 버스가 다니지 않아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본지539호, 2014년 8월 12일자>

하지만 양산시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공영차고지 내 충전소 준공을 앞당기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양산시는 “우리 시에서도 여러모로 궁리를 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내년에 완공하는 공영차고지에 충전소만이라도 우선 가동할 수 있도록 해 7~8월에는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산시 계획대로 내년 7~8월 충전소를 준공한다 해도 앞으로 시민은 약 1년 동안이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원동 등 일부 지역은 이번 감차로 낮 시간대에는 무려 8시간 동안 버스를 이용할 수 없어 주민 불편이 심각하다.

시내 지역도 불편이 크다. 북정과 구포를 오가는 21번 버스는 북정출발 8시 10분 버스 이후 총 7회가 줄어 배차 간격이 1시간으로 넓어졌다. 동원아파트와 명곡을 오가는 87번 버스도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다섯 시간 동안 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버스 운행 축소 후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점도 시민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 

원동면에 사는 박수용(89) 씨는 지난 14일 시내에 있는 병원을 찾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다 낭패를 볼 뻔했다. 버스 운행 중단 사실을 몰랐던 박 씨가 버스 정류장에서 오지 않는 버스를 기다린 것이다. 박 씨는 기자가 버스 운행 중단 사실을 알려주자 당황하며 그게 사실이냐고 되물었다.

박 씨는 “버스가 없어졌다는 소리는 듣지 못했다”며 “면사무소에서도 얘기 안 해주고 여기(버스 정류장)에도 아무 내용이 없는데 버스가 없어진 걸 알 수가 있겠냐”고 말했다. 박 씨는 덧붙여 “버스를 이렇게 줄여버리면 우리 같은 노인네들은 뭐 타고 시내에 나가느냐”며 답답해했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인터넷 버스정보시스템과 버스 내 안내표지를 통해 배차시간 변경을 알리고 읍ㆍ면사무소나 동주민센터를 통해 홍보를 하고 있지만 아직 버스 이용객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다”며 “홍보를 더 늘려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