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1일 명곡동 한 가금농가에서 폐사한 닭이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 판정이 나오면서 방역당국이 예방 살처분과 방역을 강화했다. 그러나 정밀검사에서 결국 고병원성으로 확진되면서 이곳에서 10km가량 떨어진 상ㆍ하북면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
ⓒ |
특히, 양산지역은 과거 세 차례 고병원성 AI로 224억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를 입은 바 있어 추가 확산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경남도와 양산시에 따르면 이번 AI는 소규모 방역취약 가금농가를 예찰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명곡동에서 닭과 오리 420여마리를 사육하는 농가에서 폐사한 닭 2마리를 발견하고, 축산진흥연구소 중부지소에 AI 간이검사를 의뢰한 결과 양성 판정이 나온 것. 이후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뢰한 정밀검사에서 13일 고병원성으로 최종 확진됐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AI가 경남 최대 산란계 농가가 밀집 지역인 상ㆍ하북면으로 추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발생 농가를 중심으로 이동통제소를 설치해 출입 차량 방역을 강화하는 한편, AI 발생농가 3km 이내(위험지역)에 있는 농가의 닭과 오리 등 가금류를 수매 후 살처분했다. 앞서 AI 발생농가에서 사육하던 닭과 오리 420여마리는 고병원성 확진 판정 전 예방차원에서 살처분했다.
![]() |
↑↑ 지난 11일 명곡동 한 가금농가에서 폐사한 닭이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 판정이 나오면서 방역당국이 예방 살처분과 방역을 강화했다. 그러나 정밀검사에서 결국 고병원성으로 확진되면서 이곳에서 10km가량 떨어진 상ㆍ하북면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
ⓒ |
AI 발생 소식이 전해지면서 상ㆍ하북면 양계농가에서는 지난 2008년 악몽이 되살아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양산지역에서는 고병원성 AI로 2004년 180만마리를 살처분해 89억원의 피해를 봤고, 2008년에는 140만마리 살처분으로 134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다소 피해가 적었던 2011년에는 1천마리를 살처분해 1억원의 피해를 봤다.
경남도와 양산시는 “철저한 차단 방역을 통해 고병원성 AI 확산 방지와 조기 종식에 최선을 다할 것”이
라며 “가금농장과 축산 관련 시설에서도 소독과 이동제한 협조 등 적극 방역활동에 나서 줄 것”을 당부했다.
![]() |
↑↑ 지난 11일 명곡동 한 가금농가에서 폐사한 닭이 간이검사 결과 AI 양성 판정이 나오면서 방역당국이 예방 살처분과 방역을 강화했다. 그러나 정밀검사에서 결국 고병원성으로 확진되면서 이곳에서 10km가량 떨어진 상ㆍ하북면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