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준 코치, 최승준, 유하영, 박성현, 최정하, 박정현, 이수현, 이소현 학생 |
ⓒ |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7일간 열린 ‘제33회 회장기 전국레슬링대회’에서 원동초 어린 친구들이 ‘큰일’을 냈다. 이수현(9)ㆍ소현(9) 쌍둥이 자매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땄고 박성현(9) 군도 은메달을 수확했다.
이들의 메달이 더 값진 이유는 레슬링을 체계적으로 배운 게 아니기 때문. 일주일에 두 번 방과후학교에서 배우는 게 전부인데 레슬링대회 가운데 가장 큰 대회에서 이처럼 좋은 성적을 거뒀다.
아이들에게 레슬링을 가르치고 있는 이준(22) 코치는 “쌍둥이들은 다른 아이들보다 집중력이 좋고 성현이는 힘이 타고난 것 같다”며 아이들을 칭찬했다.
현재 레슬링 수업에는 모두 7명의 아이가 참여하고 있다. 수현ㆍ소현 자매와 성현이, 최승준(9), 최정하(9), 유하영(9), 박정현(8)이 그 주인공이다.
7명의 꼬마 레슬러들이 모두 레슬링 선수를 꿈꾸는 건 아니다. 정현이는 의사, 승준이는 수영 선수가 꿈이다. 정하는 권투 선수가 되고 싶다. 메달을 딴 수현ㆍ소현 자매마저 요리사와 화가를 꿈꾼다. 성현이와 하영이만 레슬링 선수가 꿈인데, 이 꿈이 언제 달라질지는 아무도 모를 일.
하지만 시골 학교에서 달리 경험할 수 있는 운동이 없다. 그래서 스무 평(66㎡) 남짓한 작은 공간에서 친구들과 구르고 뒤엉키는 시간이 더 소중하다.
김동립 체육교사는 “시내와 달리 많은 부분에서 열악해 다른 운동은 꿈꾸기 힘들다”며 “특히 쌍둥이 같은 경우 기량이 뛰어나 제대로 교육만 받는다면 체육 쪽으로 진로를 결정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텐데…”라며 아쉬워했다.
외딴 학교. 시설도 학생 수도 부족해 경험할 것조차 많지 않은 이곳 아이들. 원동초 교사들의 바람처럼 모든 아이가 각자의 꿈을 향해 땀 흘릴 수 있도록 더 많은 기회와 여건이 제공될 수는 없을까? 이런 바람을 아는지 모르는지 오늘도 아이들은 재잘대며 레슬링을 즐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