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는 일방ㆍ획일적 독재식 주입교육” 우려
“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주의 역사에 대한 도전이다. 대한민국 역사를 함부로 바꾸지 마라!”
양산지역 학부모들이 ‘한국사 국정화 반대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공동선언문에는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스스로 동참 의사를 밝힌 학부모 1천459명이 뜻을 함께 담았다.
양산지역 학부모 15명은 지난달 28일 양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1천459명을 대표해 기자회견을 열고 “일부 정치인이 이제껏 우리 아이들이 배워온 교과서가 대한민국 역사를 부정하고, 이념 편향적이어서 바꿔야 한다는 억지주장을 하고 있다”며 “이에 학부모 1천459명은 국가가 비정상적이고, 졸속으로 밀어붙이는 한국사 국정화 부당성에 대해 강하게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사 국정화 집필진에 학계 역사학자 대부분이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역사학자들의 올바르고 다양한 시각이 아닌 대통령과 일부 정치인의 편향된 시각으로 교과서가 집필된다면, 학문 다양성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일방적이고 획일화된 독재적 주입식 교육일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이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교사와 학생들 교재 선택권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민주주 기본 이념에 모순되거나 역행하는 비정상적 후진국형 제도이고, 세계에서 국정화를 채택한 나라는 북한이나 방글라데시, 일부 이슬람 국가뿐”이라며 “정부가 굳이 국정화를 고집하는 것은 교과서 발행에 정부가 필요 이상으로 개입해 국민을 통제하고 획일화해 집권 세력이나 기득권 세력의 역사관을 주입하려는 의도로 밖에 여겨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리는 우리 아이들이 이제까지 검ㆍ인정 교과서로 받은 역사 교육이 일부 정치권이 우기는 좌편향이나 김일성 주체사상과 무관한 교육이었음을 자신하며, 우리 자식이 어떤 교육을 받고 있는지 모를 정도로 무관심한 학부모가 아니다”며 “감히 바라건대, 대한민국 근간을 흔드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지금이라도 당장 멈추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산지역 학부모들은 지난달 19일부터 SNS를 통해 자발적으로 1천원씩 기금을 모아 지난달 27일 발행한 본지 598호에 “대한민국 역사를 함부로 바꾸지 마라”는 제목으로 참여자 실명을 담은 전면광고를 냈다.
애초 1천명 정도 모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일주일이라는 짧은 시간에 예상을 훨씬 넘는 1천459명이 모였다고 학부모 모임은 설명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이후 한국사 국정화 반대 공동선언문과 전면광고를 세종시 청부청사(교육부)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