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독립운동가 윤현진 선생, 기념사업 첫 단추 뀄다..
기획/특집

독립운동가 윤현진 선생, 기념사업 첫 단추 뀄다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5/11/24 10:51 수정 2016.06.21 10:51
양산시ㆍ윤영석 국회의원ㆍ양산문화원 공동 주최 토론회 열려

독립운동사에서 업적과 기념사업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 교환

양산 상북면 소토리 내전마을 출신으로,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우산(右山) 윤현진 선생 기념사업 추진을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양산시와 윤영석 국회의원, 양산문화원이 공동 주최하고, 본지가 주관한 ‘양산 출신 독립운동가 윤현진 선생 기념사업 추진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19일 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민족 긍지와 자긍심을 높이는 동시에 양산 출신 독립운동가인 윤현진 선생의 삶을 재조명하고, 기념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현진 선생은 후진 양성을 위해 양산에 의춘학원을 설립했으며, 상해 임시정부 시절 초대 재무차장에 선임돼 임시정부 재정문제를 해결하는 등 독립운동사에 큰 역할을 했지만 만 29세라는 젊은 나이에 순국해 그 업적에 비해 학계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아 일반인에게 생소한 인물이다.

본지는 광복 70주년이자 창간 12주년을 맞아 지난 9월 8일(592호) ‘우산 윤현진,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름’이라는 특집기사를 3개 면에 걸쳐 자세히 소개하면서 지역 인물을 발굴하고, 기념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후 특집기사는 각계각층에서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기념사업 추진을 위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날 토론회는 앞으로 윤현진 선생 기념사업 추진을 위한 첫 단추이자 본지 보도에 따른 첫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박정수 양산문화원장은 “양산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인 윤현진 선생의 삶을 조명하고, 그의 거룩한 나라사랑정신을 후세에 전해야 할 의무를 우리 모두 가지고 있지만 그동안 먹고 사는 문제에 급급한 나머지 선생의 고귀한 정신을 잊고 살았다”고 반성하며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을 떠올리며, 오늘 토론회가 윤현진 선생의 삶이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전해주는 의미를 되새기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간 차원 기념사업회 설립에 공감대… 민ㆍ관 상호협력 다짐


나동연 시장은 “양산시민신문 보도 이후 선생에 대해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계기와 선양사업 대상과 방향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윤현진 선생의 삶과 의미에 대해 이해하고 선양사업을 어떻게 추진해야 할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으면 하고, 제시되는 고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영석 국회의원은 “좀 더 일찍 윤현진 선생의 헌신을 양산시민에게 전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며 “30세 꽃다운 나이에 순국한 아름다운 청년 윤현진 열사의 이름 세 글자가 앞으로 300년, 3천년 동안 양산의 대명사가 되도록 작은 힘이나마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김형목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박인주 양산문화원 부원장, 김주용 국가보훈처 보훈선양국장, 김명관 본지 대표이사, 최재영 양산시 복지문화체육국장이 패널로 참석해 선생이 독립운동사에 남긴 업적과 기념사업을 추진해야 할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형목 선인연구위원은 “선생은 임시의정원회의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등 여권 신장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1948년 5.10 총선거에서 여자에게 보통선거권을 부여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가 됐다”며 “양산에서 기념사업 초점을 여권신장을 위해 공헌한 부분을 부각해 나가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인주 부원장은 “양산문화원이 중심이 된 민간차원의 기념사업회를 구성해 선양사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주용 보훈선양국장은 “요즘 기념관은 전시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청소년 교육장이 될 수 있도록 짓고 있다”며 “기념관 주변에 학생들이 찾아올 수 있는 유인 요소를 많이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냈다.

이어 김명관 대표이사는 “기념사업이 이른 시일 안에 추진되기 위해서는 기념사업회 사업 발굴, 양산시는 2016년도 예산 확보, 국회의원은 국비  확보 등 쓰리트랙(three track)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재영 복지문화체육국장은 “양산시는 선생의 기념사업 추진에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선양사업회가 발족할 경우 사업회와 밀접한 협력관계를 통해 사업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 추진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