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화성파크드림아파트 주민이 국도7호선 우회도로 공사로 분진과 소음, 조망권 침해 등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며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를 비판했다.
화성파크드림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이재욱)는 지난 23일 오전 10시 30분 양산시청 기자실에서 회견을 열어 “공무원들의 안일한 탁상행정 피해를 540세대 주민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할 지경”이라며 “주민과 합의해 변경한 설계대로 공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가 94억원의 예산을 증액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현재 명동 화성파크드림아파트 앞으로는 국도7호선 우회도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대책위는 교량형태로 건설되는 해당 도로가 아파트와 너무 인접해 공사 도중 불편은 물론 공사 후에도 분진과 소음으로 고통 받게 될 것이라며 설계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대책위 주장대로라면 교각 외벽과 아파트 간 최단 거리는 60m에 불과하다.
“국토부 설계변경 대로 예산 94억 증액해 달라”
대책위는 “화성파크드림아파트가 2005년 허가를 받아 2006년 6월 착공, 2008년 사용승인이 난 데 비해 국도7호선 우회도로는 2007년 처음 주민공청회를 했고, 2008년 후반에야 설계도면이 완성됐다”며 “어떻게 아파트보다 늦게 계획된 도로를 아파트 바로 앞을 지나도록 설계할 수 있느냐”고 따졌다.
![]() |
ⓒ |
이번 기자회견에서 대책위는 “국토교통부와 지난 4년 동안 여러 차례 협의해 아파트와 교량 사이 거리를 155m로 넓히고 높이도 낮추기로 합의하고 설계변경안까지 마련했는데 이번에 기획재정부가 설계변경에 따른 증액예산 94억원을 의결하지 않아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될 위기”라며 “기획재정부는 예산변경 거부 이유를 자세히 밝혀 우리 주민들을 납득시키거나 아니면 국토교통부가 요구한 예산을 그대로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책사업이라고 손 놓았다” 양산시도 함께 비판
대책위는 더불어 양산시를 “수년째 민원이 제기돼 온 문제임에도 아무런 중재를 하지 않는다”며 “양산시가 국책사업이란 이유로 책임을 다하지 않는 것은 시민 고통을 외면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대책위는 기자회견 다음날 세종시 기획재정부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토교통부에서 요구한 예산 94억원 증액을 그대로 의결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