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등굣길 가로막은 전선 지중화 상자..
사회

등굣길 가로막은 전선 지중화 상자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6/05/17 10:43 수정 2016.05.17 10:43
범어 A초등학교 앞 지상개폐기 통학로 절반 가로막아
2005년 폭발 사고 알려지자 일부 학부모 안전문제 지적
학부모ㆍ학교측 이전 요구에 한국전력 양산지사 ‘난감’

어린이보호구역 내 인도에 설치한 전력 지상개폐기(전선 지중화 상자)가 아이들 통학을 방해하는 것은 물론 사고 위험까지 안고 있어 조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물금읍 범어리 A초등학교는 학생 대부분이 학교와 이웃해 있는 아파트에 산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아파트와 학교 사이 인도를 통해 등ㆍ하교한다. 그런데 지상개폐기가 인도 절반을 가로막고 있어 아이들이 몰리는 등하교 시간에는 통행 불편이 심하다. 정도가 덜하긴 하지만 범어리 B초등학교와 남부동 C중학교 앞도 마찬가지다.


A초등학교에 다니는 한 학생 어머니는 “통학로 한가운데를 저렇게 큰 전기 시설이 가로막고 있으니 단순히 불편을 넘어 통행 방해 수준”이라며 위치를 옮겨 달라고 요구했다.


A초등학교 교장 역시 “아이들이 몰리는 아침에 보면 출근하는 어른들까지 겹쳐 불편이 크다”며 “혹시라도 사고가 날까 걱정하는 마음을 떨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우려에 한국전력공사 양산지사(이하 한전)는 지상개폐기 이전을 고려 중이다. 한전은 지상개폐기를 인도 옆 아파트 안쪽 화단으로 옮겨 인도 위에서 완전 철거하는 A방안과 현재 위치에서 약 40cm가량 도로 쪽으로 옮겨 보행 공간을 넓히는 B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문제는 비용이다. A안으로 할 경우 약 5천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한전은 지상개폐기가 아파트와 아파트 상가 전력을 관리하는 만큼 수익자 부담원칙에 따라 비용 일부(약 2천만원)를 아파트측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현재는 B안을 중심으로 이전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한편, 이번에 통학 불편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부 학부모들은 지상개폐기와 관련한 사고 위험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C중학교 한 학부모는 “저 큰 통 안에 각종 전기장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안전사고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물론 안전하니까 인도에 설치했겠지만 그래도 가능하면 땅속이나 사람 통행이 적은 곳으로 옮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걱정이 근거가 전혀 없는 것만은 아니다. 실제 지난 2005년 서울에서 지상개폐기가 폭발해 근처를 지나던 60대 행인이 파편에 맞아 사망하는 사고도 있었다. 당시 소방당국은 2만2천900V의 특고압 개폐기가 순간적인 과부하로 폭발한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A초등학교 통학로에 설치한 지상개폐기 역시 150KVA로 2만2천900V의 특고압을 받아 저압으로 낮추는 기능을 하고 있다.


2005년 사고 당시 전문가들은 “지상개폐기는 지상에 있기 때문에 오래되면 절연용 가스가 새거나 쥐가 갉아먹을 수 있어 고장 위험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한전은 “2005년 당시 사고 이후 순간압력저감장치라는 설비를 개발해 지상개폐기에 순간적으로 압력이 차면 그 압력이 땅속으로 빠져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안전에는 이상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