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기대만 컸던 전지연구센터, 용두사미 신세 전락..
경제

기대만 컸던 전지연구센터, 용두사미 신세 전락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6/06/28 09:24 수정 2016.06.28 09:24
내년 4월 협약 만료 앞두고 재협약 관련 의견 엇갈려
이해걸 국장 “실패한 유치 인정, 철수하는 게 바람직”
이상정 의원 “미래 필수 산업, 투자 늘어도 잡아야”












ⓒ 양산시민신문
2012년 문을 연 양산 전지연구센터(한국전기연구원 양산센터)가 결국 5년여 만에 양산을 다시 떠나게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놓였다.


전지연구센터는 지난 2012년 4월 전지(Battery) 분야를 집중 연구하기 위해 한국전기연구원 조직 일부를 확대해 양산으로 옮겼다. 시청 제2청사에 연구 시설을 마련하고 지금까지 5년간 국고 125억원 등을 지원받아 ‘차세대 2차 전지 핵심 기술 개발 및 기술 지원 사업’을 수행해 왔다.


전지연구센터가 문을 열 당시 양산시는 차세대 중대형 2차 전지 기술 개발과 지역 관련 기업 소재원천기술, 2차 전지 공정 최적화 사업을 병행해 지역 경제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전지 분야는 앞으로 대세 산업이 될 수밖에 없는 친환경 자동차 산업 핵심 기술로 자동차 협력업체 기술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전지연구센터는 중대형 2차 전지 제품 표준화ㆍ시험평가 인증사업을 추진해, 전기자동차 등 각종 수송기기와 신재생 에너지 동력원 관련 산업 발전을 기대하게 했다.


전지연구센터 역시 이전 초기 “향후 부산, 울산 등 동남권 2차 전지 산ㆍ학ㆍ연 연구기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내 전지 관련 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각오를 보였다.


하지만 그런 다짐과 기대와 달리 만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지연구센터는 실제 눈에 보이는 연구 성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연구 분야 특성상 성과를 가시화한다는 게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막연한 기대만으로는 직접 이익 창출을 바라는 지역 기업체와 시민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사실 이런 문제는 이전 당시부터 예상돼 온 것이다. 적어도 전지연구센터 연구 활동이 하이브리드, 전지산업 등 지역 내 관련 업체와 직접 연계돼야 하고, 그런 활동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뤄지느냐로 전지연구센터 미래가 결정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2014년 나동연 양산시장이 센터를 방문해 수요자 중심 기술개발ㆍ지원으로 지역산업 고도화를 이끌어 달라고 당부할 때만 하더라도 기대가 남아있었다. 하지만 이후에도 전지연구센터가 가시적 연구 성과를 내놓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 기업과의 협업 성과 역시 내세울 게 없는 상황이 되풀이되자 양산시는 협약을 종결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지난 14일 열린 양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이해걸 경제환경국장은 전지연구센터 유치에 대해 ‘실패한 결과’라며 협약 종결을 직접 언급했다. 전지연구센터는 이 국장이 경제기업과장 시절 직접 유치에 뛰어들었던 만큼 이번 발언은 의미심장하다. 오히려 이상정 시의원(새누리, 평산ㆍ덕계)은 전지 분야 연구의 장래성, 필요성을 언급하며 협약 연장을 주문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국장은 전지연구센터가 제대로 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본원인 한국전기연구원의 적극적인 의지가 중요한데 그런 면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회의적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 국장은 “이전 당시 한국전기연구원에서 부지 5만평(약 16만5천㎡)에 축구장, 기숙사까지 지어 달라고 했는데 그건 기초자치단체에서 해 줄 수 없는 규모”라며 “지방자치법에서도 국가기관 유치 시 기초단체에서 자부담할 수 없도록 해 사실상 포기 상태”라고 말했다.


결국 양산시가 재협약을 사실상 포기한 만큼 전지연구센터는 지난 5년간 역할에 대한 논란만 낳은 채 다시 양산을 떠나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