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사생결단 각오로 사드 배치 막겠다” 긴박했던 사흘 ..
사회

“사생결단 각오로 사드 배치 막겠다” 긴박했던 사흘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6/07/19 09:00 수정 2016.07.19 09:00
■ 사드 양산 배치설(說) 그 후…
지역사회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
행정, 정치권 등 긴밀한 대응 나서
사드 천성산 배치 반대 한목소리

긴박했던 사흘이었다. 지난 11일 한 언론에서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양산 배치 유력설을 제기하면서 지역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경악한 양산 민심은 벌집 쑤신 듯 들썩였고, 각계각층에서 반대 목소리가 쏟아졌다. 국방부가 13일 오후 3시 경북 성주를 사드 배치 지역으로 확정 발표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양산시민은 5일 발생한 지진으로 놀란 가슴을 추스를 새도 없이 터진 사드 양산 배치설로 논란으로 혼란을 겪어야 했다.














ⓒ 양산시민신문



천성산이 사드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자 즉각 양산시 지역사회가 강력하게 반발했다. 그동안 여러 쟁점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던 것과 달리 사드 양산 배치에는 ‘결사반대’라는 한목소리를 냈다.


양산시는 지역 정치권, 종교계, 상공계, 문화ㆍ체육계, 교육계, 여성계 등 각계각층 주요 인사가 모두 참석한 가운데 지난 12일 오전 양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사드 양산 배치 반대 범시민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오규석 기장군수와 김대군 기장군의회 의장, 기장군민 200여명도 참석해 사드 양산 배치 반대에 목소리를 높였다.


참석자들은 통도사 주지 영배 스님과 박정수 문화원장, 구자웅 양산상공회의소 회장을 공동대표로 하는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생결단 자세로 저항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지역 정치권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윤영석 국회의원(새누리, 양산 갑)은 11일 국방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을 잇달아 만나 항의했고, 서형수 국회의원(더민주, 양산 을)은 반대 성명을 발표하는 한편, 12일 양산에 사드를 배치한다면 국회의원에서 사퇴하겠다는 배수진까지 치며 맞섰다. 양산시의회도 정경효 의장을 중심으로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양산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사드 배치에 동의할 수 없다며 시민과 함께 반대투쟁에 나설 것을 경고했다.


들끓던 지역 민심은 12일 오후 사드 배치 지역이 양산 천성산이 아닌 경북 성주 성산리가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다소 누그러졌다. 하지만 확정 발표 때까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사드 배치 반대 총궐기대회를 14일 열기로 계획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웠고, 통도사와 내원사, 울산 석남사 등 불교계는 13일 천성산 원효봉(922m)에서 산신제를 지내며 천성산이 원형을 유지하며, 불교성지로 자리하길 기원했다.


경북 성주가 유력 후보지로 떠오른 가운데 국방부는 13일 오후 3시 사드 배치 지역을 공식 발표하기로 했다. 그러나 발표 시각 불과 15분을 남기고 발표를 취소하면서 또다시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하지만 국방부가 예정대로 이날 오후 3시 경북 성주를 사드 배치 지역으로 확정 발표하면서 11일 사드 양산 배치설이 급부상한 이후 긴박했던 3일은 막을 내렸다. 














ⓒ 양산시민신문



안도, 하지만 마냥 좋아할 수만도… 각계각층 반응

국방부가 경북 성주를 사드 배치 지역으로 확정하고 나서야 비로소 양산시민은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도 마냥 좋아할 수도 없는 복잡한 분위기에 휩싸였다. 성주군민이 느끼고 있을 혼란과 분노를 다른 어느 지역보다 양산시민이 잘 알기 때문이다.


사드 배치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는 13일 오후 4시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 결정을 환영하는 한편, 사드 배치 반대를 외치며 보여준 시민 결집력에 감사의 뜻을 나타냈다.


박정수ㆍ구자웅 범시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와 나동연 양산시장은 “천성산은 수십년간 군사보호구역으로 묶여 양산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됐고, 그동안 양산시민은 엄청난 고통 속에서도 불구하고 국가안보를 위해 묵묵히 견뎌 왔다”며 “그러나 천성산에 사드가 배치된다는 소식에 시민 모두가 경악하면서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지만 국방부에서 사드 배치를 다른 지역으로 결정하면서 천성산이 시민에 품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게 돼 참으로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보여준 시민 뜻을 받들어 양산 대표 명산인 천성산을 보존해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윤영석 국회의원(새누리, 양산 갑) 역시 “정부의 사드 배치 지역 선정을 존중한다. 사드 운용에 있어 앞으로 성주군민 안전과 건강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양산시민 모두의 의지가 하나로 뭉쳐 시너지를 냈기에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30만 양산시민 동의와 지지를 얻지 못한 채 이뤄지는 정부사업은 불가하다. 이러한 대원칙을 앞으로도 계속 유지해 정부정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일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야권과 진보 성향 시민단체에서는 일단 양산이 제외된 것을 환영하면서도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서형수 국회의원(더민주, 양산 을)은 “한반도 평화와 국민 안전, 가뜩이나 불안한 경제 상황과 북핵을 둘러싼 다자외교 상황을 고려하면 잘된 결정이라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졸속 사업 추진으로 전국적인 혼란을 불러온 데 대해 정부가 사과하고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해 재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보 성향 시민단체로 구성한 ‘사드 배치 반대 양산대책위원회(준)’ 역시 “배치 예정지역으로 지명되는 곳마다 거센 반대 여론이 나온다는 것은 국민 정서가 사드 자체를 반대하고 있는 것”이라며 “수도권 방어가 불가능한 성주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것은 정부가 주장하는 국민을 위한 사드 배치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결국, 국민 동의를 얻지 못한 채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 국방부 사드 배치 추진 사업이 국민 혼란은 물론 정부 신뢰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