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출산율이 도내 평균 출산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현재 인구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대체출산율에는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을 꺼리는 이유에는 여성 경제활동과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이 가장 컸다.
양산시는 지난해 5월 지역 내 1천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경남 사회조사 결과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 저출산 문제를 연계한 분석 결과를 내놨다.
양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양산지역 평균 출산율은 1.5명으로 도내 전체 평균 출산율 1.44명보다는 높았으나 현재 인구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대체출산율 2.1명에는 미치지 못했다.
가사분담 견해에는 ‘부인이 주로 분담’이 47.2%, ‘공평하게 분담’이 41.1%, ‘부인 전담’이 10.9%로 나타났지만, 실제 가사분담 실태에서는 ‘부인이 주로 분담’이 57.0%, ‘부인 전담’ 30.1%, ‘공평하게 분담’이 10.9%로 나와 ‘견해’와 ‘실제’에 상당한 차이가 났다.
결혼에 대한 견해에는 ‘반드시 해야 한다’가 15.1%로, 2013년 조사 당시 16.5%, 2010년 조사 22.5%와 비교할 때 해가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 |
ⓒ 양산시민신문 |
특히, 결혼 여부는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65세 이상은 44.5%가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했으나 60세 이상은 37.5%, 50~59세 16.7%, 40~49세 9.8%, 30~39세 6.8%, 20~29세 8.5%, 10~19세 6.0%로 나이가 어릴수록 결혼을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컸다.
저출산 주된 요인은 ‘여성의 경제활동 증대’가 22.1%로 가장 많았고, ‘자녀 양육 질적 수준과 부담 증대’가 21.7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경제 침체와 직장 불안정’이 17.4%로 꼽혔다.
저출산 해결 방안으로는 ‘가정과 직장생활의 효율적 병행을 위한 양육시설 확충’이라는 답변이 37.7%로 가장 많았고, ‘자녀 양육 관련 직장 지원’ 21.5%, ‘자녀 양육부담 경감 제도 추진’ 18.8% 순으로 조사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녀 양육과 관련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녀 1인당 교육비는 월평균 지출액은 29만2천4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통계청 조사에서는 서울 33만5천원, 대도시 27만3천원, 광역시 23만1천원, 이외 21만9천원이었다.
월평균 공교육비는 30만5천원, 사교육비는 27만9천원으로 조사됐다. 공교육비는 ‘대학 이상’이 116만600원, 사교육비는 고등학교 40만5천4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자녀 교육비 지출에 대해서는 ‘부담스럽다’가 75.9%, ‘보통’이 18.0%, ‘부담스럽지않다’가 6.1%로, 응답자 대다수가 교육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부담 요인으로는 ‘보충교육비’가 64.7%, ‘학교 납입금’이 30.3 %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