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물금 가촌주민 “대형 세탁업소 소음ㆍ먼지에 못살겠다”..
사회

물금 가촌주민 “대형 세탁업소 소음ㆍ먼지에 못살겠다”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6/10/25 15:47 수정 2016.10.26 15:47
영남에만 300여 가맹점 둔 본점 하루 평균 세탁물 2천500점 처리
소음ㆍ먼지ㆍ악취ㆍ가스 피해 호소 주민 “세탁소 아닌 사실상 공장”

물금 가촌리 주거지역에 대형 세탁업소가 입점하면서 인근 주민이 악취와 가스 등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가촌주민은 이름만 세탁업소지 사실상 공장이라며 주거지역에 공장을 설립하도록 해준 양산시를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가촌주민이 세탁업소를 공장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규모와 처리 물량이다. 가촌에 있는 해당 세탁업소는 양산본점으로, 이 업체는 올해 8월 현재 영남지역에 17개 지사, 300여 가맹점을 두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세탁물 분류실과 처리시설 등을 갖추고 양산을 비롯해 김해와 부산, 울산 등에 있는 가맹점에서 걷어온 세탁물 하루 2천~2천500점을 처리한다. 직원 수도 40~50여명에 이른다.


문제는 기존 범어리에 있던 세탁업소가 지난해 2월 양산본점을 신축ㆍ이전하면서 계속해서 민원을 유발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촌주민은 세탁업소가 들어선 뒤 발생하는 악취와 가스(일산화탄소), 먼지, 소음 등으로 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주장한다.



호흡기질환 앓는 주민도 늘고 있으며, 성수기 때 새벽 2시까지 운영하는 세탁 소음으로 일상에 지장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드라이크리닝 등 약품 처리하는 세탁물이 많은 겨울철에는 악취가 더 심하게 난다는 게 가촌주민 주장이다. 이밖에 세탁물 수거 차량이 마을 곳곳에 주차하는 바람에 주차문제로 인한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이에 따라 가촌주민은 지난 21일 양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탁업소 외곽 이전 촉구와 함께 양산시 소극 행정을 질타했다. 이들은 현장을 확인한 전임 양산시 부시장과 환경부 등에서 세탁업소를 공장이라고 인정했지만 여전히 주민 민원에 대해 소극 대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3년째 양산시장 면담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밝혔다.


가촌주민 대표 김아무개 씨는 “인근 범어리에 있던 민원으로 쫓겨난 업체를 주거지에 허가해주는 처사는 그 지역주민을 개, 돼지로 아는 것”이라며 “일반 병ㆍ의원에 다니다 안 돼 종합병원 진료를 받아야 하고, 안 먹던 약을 먹어야 하는 주민 피해는 누가 책임지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양산시는 세탁업소는 허가가 아닌 신고 시설이며, 주민 민원으로 현장을 수차례 확인한 결과 위반 사항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해당 세탁업소는 <공중위생 관리법>에 따라 영업신고하고 운영 중이며, 민원 등을 이유로 업소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규에 근거가 있어야 하지만, 단순히 규모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폐쇄를 명령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양산시는 “최근 26차례에 걸쳐 현장을 점검하고, 인근에 탐문 조사를 벌였으나 소음이나 먼지 등 특별한 위법사항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가촌주민이 계속해서 민원을 제기하는 만큼 문제가 발생하면 언제든 현장에 출동해 조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촌주민은 주거지에는 일정 규모 이상 세탁업소를 설치하지 못하도록 관련 법을 개정하고, 양산시가 기존 세탁업소 외곽 이전을 강력히 유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