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지난달 양산천 하천환경정비 사업 가운데 하나로 준공한 지 60년이 넘는 동면 호포교를 철거하고 새로 건설하겠다고 밝혔다.<본지 647호, 2016년 10월 25일자>
문제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시공업체에서 공사 동안 임시교량 설치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임시교량을 설치하지 않으면 통행 불편은 물론 인근 상권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는 게 주민 주장이다.
실제 호포마을은 호포교를 철거할 경우 유동인구가 급격히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황산문화체육공원 개발과 국민여가캠핑장 개장,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 개통 등으로 마을을 지나는 사람이 늘어났는데 다리가 끊기면 이들은 마을과 약 1km가량 떨어진 호포대교를 이용해야 한다. 결국 마을 입장에서는 유동인구가 급감하고 황산문화체육공원 이용자로서는 먼 길을 돌아가야 하는 셈이다.
마을 주민 박아무개(58) 씨는 “황산공원과 자전거길 이용자들이 늘어나 모처럼 마을이 활기를 띠었는데 무작정 다리(호포교)를 철거해버리면 우리 동네는 다시 죽은 동네가 될 것”이라며 “양산시가 자신들과 관계없는 사업이라고 손 놓고 있을 게 아니라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마을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이아무개(59) 씨 역시 “우리 동네는 음식점이 관광객을 대상으로 장사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호포교가 끊어지면 우리 마을을 지나다닐 사람은 사실상 없고, 식당은 결국 문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희현 호포마을 이장은 “공사업체 현장소장이 지난해 마을 행사에서 공사를 시작하면 차량도 다닐 수 있는 임시 다리를 놓을 거라고 약속했는데 막상 공사 시작할 때가 되자 ‘그런 말 한 적 없다’며 말을 바꿨다”고 주장했다.
정 이장은 “상식적으로도 다리 공사를 하면서 임시가교를 설치하지 않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우리 동네에 음식점만 30개 가까이 되는데 거의 유일하게 사람이 오가는 길이 2년이나 끊기면 다들 가게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주민 주장에 대해 공사 업체측에서는 기술적으로 임시가교 설치는 절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업체측은 주민들이 요구하는 임시가교는 설치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상태라고 못 박았다. 업체측은 “재가설 교량 폭이 16m인데 사실상 다리 오른쪽(마을에서 봤을 때) 철로부터 왼쪽 수관교까지 다 포함하는 정도 넓은 면적”이라며 “사실상 임시가교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없다”고 설명했다.
업체측은 “지난해 4월에도 사무실로 마을 주민들이 찾아와 그때 이미 상황을 다 설명했다”며 “그때도 자동차가 다닐 정도의 임시가교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주민들은 지난달 호포교 재가설에 따른 불편 내용을 담은 진정서를 양산시의회와 양산시에 각각 제출했다. 더불어 이번 문제에 양산시가 적극 나서지 않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양산시가 더 많은 역할을 해 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