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선에 투입하는 예산은 모두 5천558억원이다. 양산시는 현재 예산 100억원을 확보해 지난해에 이어 노선 설계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부산시가 내기로 한 분담금을 내년 예산안에 편성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부산시가 분담해야 하는 총예산은 364억원 정도인데, 첫해부터 예산을 편성하지 않은 것이다.
다만 양산시는 현재 노선 설계 단계인 만큼 부산시 분담금이 없어도 사업 진행에는 크게 지장 없다는 입장이다.
양산시 도시개발과는 “올해 받지 못한 분담금은 내년에 다시 요청해서 내년도 분담금까지 포함해 지급해 줄 것을 공문으로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런 부산시 행태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02년 지방도 1077호선 확ㆍ포장 공사 당시에도 유사한 일이 발생했다. 1077호선은 동면과 부산 금정구 노포동을 잇는 도로다.
당시 왕복 2차선이었던 도로를 양산시와 부산시는 행정구역을 경계로 각각 공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양산시는 2002년 12월 공사를 마무리했지만 부산시는 2008년 1월에야 공사를 끝마쳤다. 부산시가 양산시보다 5년 늦게 공사를 마무리한 것이다.
이 때문에 왕복 6차선 도로(양산구간)와 왕복 2차선 구간(부산구간)이 맞물리며 심각한 병목현상을 낳았다. 당시 부산과 양산을 오가던 이용자들이 심각한 불편을 호소한 것은 당연하다.
이런 전례 때문에 부산시가 도시철도 1호선 양산선 관련 분담금을 편성하지 않자 이번에도 사업에 차질을 빚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양산선은 아무래도 부산시민 이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부산시가 사업 추진에 적극 나설 의지가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부산시가 전체 364억원 분담금을 앞으로도 제때 편성하지 않으면 양산선 건설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부산시 예산담당 부서는 “부산지역에는 현재 먼저 진행 중인 지하철 관련 공사가 많아 시급성을 따진 결과 양산시에 지급해야 할 분담금은 우선순위에서 밀렸다”며 “사업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내년에는 예산 편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입장에 양산시의회에서도 사업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양산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 차예경 시의원(민주, 비례)은 “도시철도 개발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이 바로 예산 확보의 불투명성”이라며 “양산시에서도 아직 정확한 예산 확보 계획을 세우지 못한 상태에서 부산시마저 약속한 시점에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다는 것은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