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회원에 대한 교육도 당연히 장 씨 몫이다. 출ㆍ퇴근 시간 신호제어 봉사뿐만 아니다. 양산시노인복지관 어르신들 말벗도 돼야 한다. 철마다 반찬을 만들어 홀몸 어르신들에게 전하는 것도 장 씨와 모범운전자회원들 몫이다. 더불어 야간에는 청소년 안전 귀가를 위한 방범 활동까지 하고 있다.
이런 장 씨가 지난 8월 경상남도 자원봉사왕으로 뽑혔다. 15년 동안 무려 3천100시간 이상 봉사활동을 펼쳤다. 장 씨는 “긴 시간 함께해준 덕분”이라며 회원들에게 공을 돌렸다.
“사실 택시 운전사들은 출ㆍ퇴근 시간이 가장 중요하죠. 그때가 가장 돈을 많이 벌 시간이거든요. 한 두 시간 운전대를 놓아버리면 차이가 장난이 아니죠. 그래서 회원들이 더 고맙고, 안타깝고 그래요. 봉사활동으로 이익을 기대할 순 없지만 다른 보람이라도 더 많이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싶은데 현실이 쉽지가 않네요”
현재 양산지역에서 활동하는 모범운전자회원들은 105명이다. 한때 130여명까지 있었지만 몇 해 전부터 조금씩 줄었다. 먹고살기 힘들다 보니 봉사에 대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봉사가 주는 보람만으론 가끔 힘든 현실을 견뎌내기 어려울 때도 많다.
“경기가 어려우면 어려울수록 택시 승객이 줄어들죠. 흔히 장바구니 물가에서 경기가 좋은지 나쁜지를 알아보는 데 그것보다 택시를 살펴보는 게 더 정확하고 빨라요. 이미 10년 가까이 불황이 이어지고 있으니 우리 택시업계가 얼마나 어렵겠어요? 그런 상황에서 회원들에게 봉사를 부탁하기가 정말 쉽지 않아요”
정부나 지자체에서 받는 지원이라고는 1년에 한 번, 옷 한 벌 값이 전부다. 회원 모두가 모여 식사 한 끼 하기도 쉽지 않다. 회원들이 내는 한 달 회비 2만원으로 조직을 이끌어간다는 게 여간 힘든 게 아니다. 가장으로서 체면 세우기도 어렵다. 지자체별로 지원 수준이 다르다 보니 다른 지역 모범운전자회와 비교까지 하게 된다. 장 씨는 지원 부족이 왠지 자신 능력 부족 탓은 아닌가 싶은 생각마저 든다.
회장이라지만 딱히 활동비도 없다. 나가서 사람을 만나거나 행사에 참여하거나 모든 비용은 본인 부담이다.
“지원이 적고, 날씨가 추운 것도 힘들지만 정말 힘든 건 바로 그런 분들 때문입니다. 우리는 차량 흐름을 전체적으로 보고 많이 밀리는 곳은 신호를 길게 주고, 적게 밀리는 곳은 짧게 주는데 운전하는 분들은 이해하려 하지 않으시죠. 겨울철 새벽 칼바람에 귀가 떨어져 나갈 것 같은 고통을 참으며 일하는데 그런 반응을 마주하게 되면 사실 이 일을 왜 하고 있나 싶을 수밖에요”
장 씨가 매서운 겨울바람과 정면으로 마주하고 때론 따가운 시민 눈총도 참아내야 하면서도 ‘봉사’를 손에 놓지 못하는 이유는 딱 하나다. 시민 재산과 생명을 보호한다는 자긍심 때문이다. 그리고 봉사에서 느끼는 보람이 15년 동안 3천100시간 이상 그를 묵묵히 봉사할 수 있도록 인도했다.
“그래도 길에서 봉사하다 보면 가끔 ‘고맙다, 힘내라’ 인사해주는 분들도 만나게 됩니다. 그분들 말씀 한마디가 정말 큰 힘이 되죠. 아마 칼바람 맞으면서도 우리 회원들이 이 일을 계속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어요”
큰 욕심 없이, 오늘처럼 사고 없이, 시민과 지역사회에 작은 보탬이 됐으면 하는 마음이지만 그래도 버릴 수 없는 욕심은 있다. 바로 봉사활동 중에 다치는 회원들에 대한 처우다.
“교통정리를 하다 보면 가끔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생겨요. 심지어 목숨을 잃기도 하고요. 그런데 그런 사고에 대한 보호 장치가 없어요. 마음 같아선 봉사 도중 생명을 잃거나 다치면 의사상자로 지정해줬으면 좋겠는데…. 무엇이 됐건 사고가 났을 때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길이 좀 생겼으면 합니다”
동료들이 없었더라면 장 씨 봉사도 이처럼 길게 이어지기 힘들었을 것이다. 힘들 때 서로 다독이고 의지하며 뚜벅뚜벅 걸어온 길이 ‘자원봉사왕’이란 선물까지 준 것. 그래서 장 씨는 더 많은 사람이 동참해 서로에게 든든하게 바람막이가 돼 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리 일이 대단한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사회에 보탬이 되는 일입니다. 충분히 자긍심 가져도 되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믿어요. 회원 모두 저와 함께해줘서 고맙고 앞으로도 늘 같이하면 좋겠어요. 문은 항상 열려 있으니 신입 회원들도 늘어나면 더 좋지요. 우리 같이 행복한 마음으로 봉사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