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안전총괄과는 “양산단층 일원 문헌 조사를 통해 양산지역 일원 지진 발생 가능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지진대피 장소 선정과 지진대비 자체 시민 행동요령 등 안내서를 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지진피해 예방을 위한 중ㆍ단기 추진 계획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예산 1천900만원을 들여 연구용역을 발주, 내년 5월까지 실태조사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한편, 지난 9월 12일 오후 7시 44분 경북 경주시 인근에서 규모 5.1(자동계기분석 결과) 지진이 발생하고, 이어 오후 8시 32분 지진관측 사상 최대인 규모 5.8 추가 지진이 덮치면서 시민은 공포에 떨어야 했다. 이후 시민단체와 지역 정치권에서는 양산시에 지역 특성에 맞는 지진 대비 대책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이에 나동연 양산시장은 지난 10월 열린 양산시의회 임시회에서 양산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진 대응 방법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당시 나 시장은 “국민안전처에서 제작하고 있는 표준행동지침서와 함께 지역 고유 특성을 반영한 대응 방법을 준비해 더욱 세밀하고 정교한 지침서를 연말까지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한 학계와 지진전문가들이 양산지역 지진을 연구한 결과 필요할 경우 추가예산을 확보해 대책 마련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 |
↑↑ 지난 9월 12일 지진관측 사상 최대인 규모 5.8 지진 발생 후 시민들은 양산이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지진대비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계속 해오고 있다. 사진은 지진 발생 당시 양산지역 피해 상황.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