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소주파출소와 삼성파출소가 각각 문을 열었다. 개소식에는 나동연 양산시장과 윤영석ㆍ서형수 국회의원을 비롯한 지역 기관단체장, 박진우 경남지방경찰청장, 정재화 양산경찰서장 등이 참석해 범죄 없는 도시 양산을 기대하며 축하를 전했다.
소주동은 그동안 서창파출소에서 치안을 담당해 왔다. 인구를 보면 서창동 3만1천여명, 소주동 2만600여명으로 두 지역 합산 5만명이 넘는다. 5만이 넘는 인구 치안을 서창파출소 32명의 경찰이 3교대로 맡아 온 것이다.
이 때문에 소주지역 주민들은 꾸준히 파출소 신설을 요구해 왔다. 특히 주변에 새롭게 산업단지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인구 유입이 늘어나는 등 치안 수요가 급증하면서 파출소 신설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실제 경찰 1인당 인구가 2014년 기준 2천674명으로 경남지방청 평균보다 4.5배 이상 높았다. 결국 지난해 경찰청에서 실시한 ‘지구대ㆍ파출소 신설 필요성 검사’에서 그 필요성을 인정받았다.
소주파출소는 총예산 11억8천300여만원을 들여 양산영어도서관 맞은편 소주동 대평들1길 9-17에 신설했다. 앞으로 정환제 경감이 파출소장을 맡아 경찰관 13명이 3교대로 근무하게 된다.
반면, 삼성파출소는 새로 개소했다기보다 예전 기능을 회복했다는 게 정확한 설명이다. 경찰청이 지난 2003년 지구대와 치안센터 체제를 도입하면서 삼성파출소는 사실상 조직과 기능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당시 삼성동 치안센터로 이름을 바꿨다가 2010년 ‘현장 치안 역량 강화와 풀뿌리 치안 확립’을 이유로 다시 파출소로 재편했다.
하지만 삼성파출소 재편 이후 양주파출소가 문을 열면서 파출소 인력이 빠져나가 지역에는 치안 공백 우려가 깊어졌다. 최근에는 인근 중앙파출소와 통합하면서 주간에 1인만 근무하는, 사실상 파출소 기능을 잃어버렸다.
이에 삼성동 주민들은 삼성파출소 기능 회복을 지속해서 건의했다. 양산시의회에서도 삼성파출소 기능 정상화를 위한 건의문을 채택하며 힘을 쏟았다. 한옥문 시의원(새누리, 중앙ㆍ삼성)은 “현재 삼성파출소는 무늬만 파출소”라며 “삼성파출소 인원과 장비를 보강하고 기능을 정상화해 지역 실정에 맞는 치안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새로 개소한 삼성파출소는 이수갑 파출소장(경감) 등 경찰관 14명이 3교대 형태로 근무하며 지역 치안을 담당하게 된다.
한 의원은 “그동안 삼성파출소가 제 기능을 못 해 주민 불안이 컸었는데 지금이라도 다시 개소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삼성파출소가 앞으로 산막산단까지 광범위한 지역을 감당해야 하는데 주민 치안 안정에 큰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산경찰서는 더불어 소주ㆍ삼성동 외에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증한 범어지역에도 파출소를 신설할 예정이다. 범어지역은 그동안 물금지구대에서 담당해 왔는데 담당 구역이 물금읍과 원동면 전체를 아우르다 보니 이곳 역시 치안 공백이 문제로 지적됐다. 참고로 물금읍과 원동면 인구는 11월 현재 각각 8만5천여명과 3천500여명이며, 물금지구대 경찰력은 36명이다.
이에 양산경찰서는 경남경찰청에 가칭 범어파출소 신설을 요구했고, 예산 18억원(국비)을 확보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신설에 들어가기로 확정했다.
한편, 각 지역에 파출소가 신설되면서 동면파출소 인력 증원 문제도 다시 거론되고 있다. 동면 역시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증(11월 현재 2만4천여명)했지만 파출소 인력은 여전히 단 한 명 뿐이다. 주민들은 특히 사송신도시 개발 등 추가 인구 유입이 기대되는 상황이어서 파출소 신설 또는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양산경찰서는 “파출소 신설과 경찰력 충원은 해당 지역 치안 수요와 인구, 범죄발생 현황, 행정구역 체계 등을 종합 평가해 경찰청에서 최종 결정하는 형태”라며 “양산지역은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어 차후 경찰력 보충은 물론 파출소 신설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양산시민신문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