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벚꽃축제 맞춰 개통한 39억 황산육교, 반쪽 기능만…..
사회

벚꽃축제 맞춰 개통한 39억 황산육교, 반쪽 기능만…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7/04/10 10:40 수정 2017.04.10 10:40
엘리베이터 작동 안 해 이용자 불편 유모차ㆍ장애인ㆍ노약자 불만 속출
축제 장소 이어지는 연결로도 없어… 시 “불편사항 반영, 개선책 찾겠다”













ⓒ 양산시민신문
“황산공원 연결육교를 보고 정말 실망을 넘어 분노가 치민다. 당연히 완만한 경사로를 만들어 자전거와 유모차도 이동 가능할 줄 알았는데 가파른 계단으로 만들어 놓으면 수많은 자전거족과 유모차로 아이를 데리고 가고 싶은 주부들은 어쩌란 말인지 모르겠다”


“도보로 황산공원을 갈 수 있는 육교가 만들어졌다기에 한껏 기대하며 아이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갔는데 정작 엘리베이터는 작동을 안 하고 계단으로만 올라가게 돼 있어 당황스러웠다. 주변에 꽃놀이를 오신 어르신과 가족단위 여행객들도 당연히 이마트 옆 세월교 처럼 평탄한 경사로 생각하고 왔더라. 좋은 의도로 잘 기획해놓고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 참 아쉽다”


지난 1일과 2일 열린 물금읍 가족사랑 벚꽃축제 기간에 맞춰 임시 개통한 황산육교가 보행자 편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많은 이용자 불만을 낳고 있다.


양산시는 지난 1일 열린 ‘제5회 물금읍 벚꽃길 가족사랑 한마당 축제’에 맞춰 물금역 인근과 황산문화체육공원을 잇는 황산육교를 개통했다. 황산육교는 도비 10억원과 시비 29억5천만원 등 총사업비 39억5천만원을 들여 길이 132m, 폭 4m 사장교형식으로 만든 육교다. 지난해 6월 착공해 이달 말 착공할 예정으로, 물금 신도시와 황산공원을 잇는 유일한 인도교다.


문제는 1일 임시개통 당시 승강기를 전혀 사용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당연히 노약자와 장애인, 유모차를 끄는 부모 등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다. 양산시가 벚꽃 축제에 맞춰 제대로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억지로 육교를 개통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85세 노모를 모시고 나들이 나온 박 아무개(55) 씨 일행은 “육교를 개통하는 데 엘리베이터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참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불편은 해결하고 나서 개통식을 해야 하는 게 정상 아닌가”라며 “꽃구경 시켜드리겠다며 어머니를 모시고 와서 괜히 힘들게 계단만 오르내리게 만든 것 같아 죄송하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육교를 이용해 황산공원으로 넘어와도 정작 벚꽃 축제 현장인 강둑길(낙동로)로 이어지는 연결로가 없다는 점에 대해서도 이용자들은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육교를 건너와도 축제 장소로 이어지는 통로를 찾을 수 없자 많은 관광객들이 제방 위로 올라가 울타리(가드레일)를 무단으로 넘기도 했다.


가족과 함께 나들이 나온 문영규(38) 씨는 “평소에는 모르겠지만 이번과 같은 축제 기간에 사람이 몰리면 엘리베이터 1대로는 휠체어나 유모차를 감당하기 힘들 것 같다”며 “게다가 자전거까지 육교로 통행할 수 있다고 하니 엘리베이터는 나중에 분명히 문제가 될 것 같다”고 지적했다.


문 씨는 덧붙여 “나동연 (양산)시장이 개통식에서 ‘육교가 완성되면 관광객 유입으로 물금지역에 경기부양 효과가 클 것’이라며 ‘시민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라고 했다는데 개통부터 이미 충분히 불편한 상태”라며 “공사가 덜 끝난 상태에서 개통식 행사까지 하는걸 보면 결국 양산시가 시민 편의 보단 자신들 치적 알리기에 급급하다는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러한 지적에 양산시 건설과는 “애초에는 축제 기간에 맞춰 엘리베이터까지 가동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했으나 날씨 등 문제로 공사가 다소 늦어져 계단만 이용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계단 대신 경사로 형태로 만들었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처음에 그런 형태도 고려했지만 그러면 길이가 최소 130m 이상 늘어나 물금 역 주변 기존 건물들까지 철거해야 하는데 그건 사실상 불가능”이라며 “부득이하게 계단 형태로 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강둑길로 이어지는 통로가 없는 문제에 대해서도 “제방에 함부로 통로(계단)를 만들 수는 없는 일”이라며 “차후 이용자들 요구나 수요가 많다고 판단되면 관계부처와 협의해 보겠다”라며 앞으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