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지반 침하 위험 높다” 신도시 지하수 개발 전면 금지..
경제

“지반 침하 위험 높다” 신도시 지하수 개발 전면 금지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7/07/25 09:14 수정 2017.07.25 09:14
시, 용역 결과 바탕 금지 조처
충적층ㆍ암반층 모두 침하 가능

양산시가 신도시지역에 지하수 개발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양산시는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로 지반 침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조처하고 앞으로 신도시 전역을 지하수 보전구역으로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조처는 양산시가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지난 2015년부터 올해 3월까지 양주동과 물금읍 범어, 증산마을 일대 신도시 5개 지점 암반층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하수 정밀조사 용역 결과에 따른 것이다. 용역 내용은 계절과 강우량별 지하수 채취에 따른 수위 변동 모니터링, 지하수 분포 모델링, 지반 침하 계측 등을 살폈다. 그 결과 모든 지점에서 하루 2.2~12.8톤 지하수를 끌어올릴 경우 지반침하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보다 앞선 2006년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신도시 충적층(지하 50m)을 대상으로 전문기관 용역을 실시해 지하수 개발에 따른 지반 침하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양산시는 두 차례 용역 결과에서 토양(충적층)과 암반층 모두에서 지하수 채취 불가라는 결론이 나온 만큼 이번에 지하수 채취를 전면 금지시켰다.


양산시 하수과는 “2006년 LH 조사 당시 지반 침하 가능성이 언급됐지만 지하수 개발업자들이 암반층을 뚫어 개발하겠다고 나서서 이번에 암반층에 대한 안전성을 검사한 것”이라며 “두 차례 조사 결과 충적층과 암반층 모두 지하수 개발 때 지반침하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금지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하수과는 “지하수법 7조 3항에 따라 개발 인ㆍ허가를 억제하기로 한 것”이라며 “지하수 보존구역 설정을 놓고 현재 경남도와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물금과 동면신도시에서 목욕탕 등 대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은 모두 세 곳이다. 이 가운데 한 곳만 지하수를 개발해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두 곳은 수돗물을 이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