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특성화고 설립, 부지 문제 극복 못 해 ‘백지화’ 분위기..
교육

특성화고 설립, 부지 문제 극복 못 해 ‘백지화’ 분위기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7/08/08 10:19 수정 2017.08.08 10:19
부산대 양산캠퍼스 내 설립 놓고
3월부터 T/F팀 구성해 논의했지만
부산대측, 결국 구성원 설득 실패
부산대 “부지 맞교환 방식 손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내 특성화고 설립을 추진하던 계획이 결국 백지화하는 분위기다. ‘부지 맞교환’ 방식을 놓고 손익계산에 나섰던 부산대측이 결국 ‘교환 불가’로 입장을 정리했기 때문이다.


지난 3월 특성화고 설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나동연 양산시장과 윤영석 국회의원(자유한국, 양산 갑), 박종훈 경남교육감, 전호환 부산대 총장이 한자리에 모인 바 있다.



당시 경남도교육청은 자신들이 소유한 경남과학기술대 부지를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와 맞교환해 특성화고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놓고 4개 기관장은 장시간 논의 끝에 각 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대책본부(T/F팀)를 만들어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이후 4개 기관 실무자들은 몇차례 회의를 가지며 특성화고 부지 마련을 추진했다. 사실 4개 기관이 논의를 계속하긴 했지만, 문제 해결 ‘열쇠’는 부산대가 갖고 있었다. 진주에 있는 경남과기대 땅을 얻는 대신 부산대 양산캠퍼스 부지 일부를 내놓아야 하는데, 부지 시세 등을 고려하면 단순 교환만으로는 부산대측 손실이 컸기 때문이다.



경남과기대 부지와 부산대 양산캠퍼스는 부지 시세 차이도 문제였지만 경남과기대 부지는 현재 도서관 등 경남과기대 건물이 들어서 있어 차후 부산대에서 활용하기가 어려웠다.


이처럼 ‘부지 맞교환’은 부산대측이 손해가 많은 조건이라 기관장 협의 당시 양산시가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부산대측이 양산캠퍼스 내 수영장을 갖춘 복합체육시설 조성 등을 요구했고, 양산시는 법과 예산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대한 지원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최근 부산대측이 대학 구성원을 설득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전해져 특성화고 설립은 다시 원점으로 회귀하게 됐다.


부산대측은 “우리 입장에선 교환 대상인 과기대 부지는 쓸모가 없는데 400억원 가까운 양산캠퍼스 부지를 그냥 넘겨 줄 수 없어 교육청과 양산시에 대안을 요구한 상태”라며 “우리도 대학 구성원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실질적인 혜택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특성화고 설립이 지지부진한 이유를 부지 문제와 함께 도교육청 의지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대책본부 한 관계자는 “협상에서 교육청은 특성화고가 꼭 필요한지 의문을 가지고 있더라”며 “‘특성화고는 사실 혐오시설이고 수요도 정확하지 않은 상태라서 실제 지역에 도움이 될지 모른다’며 교육청이 부정적인 의견을 비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은 특성화고 설립에 결코 회의적인 입장이 아니다”며 “특성화고 설립을 위해 논의를 계속하고 있으며, 지난달 부산대측에 공문을 보내 부지 맞교환 관련 입장을 명확히 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현재까지 답신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