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정부가 보통교부세로 내려 보낸 74억원 규모 ‘일자리 예산’ 승인을 둘러싸고 양산시의회가 내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나동연 양산시장(자유한국)과 차예경 시의원(민주, 비례)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공방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먼저 차 의원은 지난 28일 민주당 동료 의원들과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일자리 예산 편성을 “목적에 맞지 않은 민원 해결용 예산”이라고 지적한 내용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이에 나 시장도 다음날인 29일 오전 개인 SNS에 글을 올려 차 의원 주장을 반박했다.
나 시장은 “지방선거가 다가오니 정치적 움직임이, 사실왜곡 또는 혹세무민이 일어나는 것 같아 지역 통합과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기에 몇 자 적어본다”며 “일자리 추경예산 편성이 잘못된 것처럼 호도하는 데 추경예산 80%가 치매안심센터 건립과 운영비를 포함한 일자리 예산”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양산시는 당초예산부터 거의 대부분 일자리와 관계되는 예산”이라며 “시정 정책 첫째도, 둘째도 일자리에 방점을 둬 왔다”고 말했다. 덧붙여 “기업인에 대한 예우와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인 표창 등 모든 정책에 (일자리를) 우선하고 있다”며 “정치적 왜곡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런 나 시장 주장에 차 의원 역시 SNS를 통해 재반박하고 나섰다.
차 의원은 경상남도에서 양산시로 보낸 ‘2017 보통교부세(추경분) 교부결정 통지서’와 예산 편성 관련문서를 SNS에 올리며 나 시장 주장을 조목조목 따졌다. 통지서에는 ‘추경 편성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 일자리 여건 조성 등 일자리 확대를 위한 재원으로 활용해 신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 바란다’고 명시돼 있다. 보통교부세로 교부한 예산은 자치단체장이 재량껏 사용할 수 있지만 이번 경우는 정부에서 ‘일자리 창출’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명시한 만큼 적합하게 사용했어야 한다는 의미다.
차 의원은 “(나동연 시장이) 사실 왜곡 또는 혹세무민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과연 예산서는 봤는지 궁금하다”며 “추경예산 가운데 80%를 일자리 예산에 썼다고 하는데 증거를 대야 할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또한 “전체 74억 일자리 예산 가운데 순수 일자리 사업은 4억6천만원 뿐”이라며 “보건소 건물 매입 가운데 노인치매안심센터는 광범위하게 (일자리 예산으로) 인정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정신건강증진센터, 어린이급식지원센터, 노인일자리지원센터는 흩어져 있던 시설을 한데 모은 것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런 시설을 한 곳에 모으는 게 어떤 고용효과가 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차 의원은 “있는 사실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을 정치공세라 할 게 아니고 처음부터 정치적으로 이용할 빌미를 만들지 말고 시민 소리에 귀 기울여 고민하고 좋은 결과를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
ⓒ 양산시민신문 |
한편, 두 사람 공방이 SNS에서 확산되면서 지지자 댓글도 줄을 잇고 있다.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지자들은 서로 인신공격과 욕설 등을 퍼붓는 등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모습도 연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