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발전 애물단지로 전락한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이하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활용 방안을 놓고 양산시가 관계부서 회의(TF회의, Task Force)를 열었다.
하지만 TF회의에서도 사실상 묘책을 찾지 못하는가 하면, 관련 정책을 총괄할 조직도 계획도 갖추지 않아 양산캠퍼스 개발 관련 의지가 있는 것이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양산시는 지난달 30일 오전 10시 시청 3층 소회의실에서 ‘부산대 유휴부지관련 T/F 회의’을 열었다. 회의는 양방항노화과가 주관, 도시개발과, 도시과 등 관계부서가 참석했다.
회의 제목은 ‘부산대 유휴부지관련 T/F 회의’였지만 사실상 부서 간 티타임 수준이었다는 게 회의를 주관한 양방항노화과 설명이다. 양방항노화과는 “양산시의회에서 방치된 양산캠퍼스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해 오래 전부터 문제를 지적해 온 상황이라 그냥 관계 부서 담당자들끼리 자연스럽게 모여서 이야기를 하게 된 것”이라며 “TF 회의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정도도 아니다”라로 말했다.
실제 회의 결과도 별다른 내용이 없다. 양방항노화과는 “양산캠퍼스 실태와 현황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으며, 부서별로 두서없이 1차적인 의견만 개진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부서별로 몇 가지 방안을 이야기하긴 했지만 구체적 방안이라기 보단 자신들 입장에서 편하게 이야기 한 것”이라며 “어떤 사업을 확정하거나 그런 건 전혀 없고, 그런 차원으로 이야기 한 것도 아니다”고 말했다.
![]() |
↑↑ 개발 계획을 세우지 못해 도심 한 가운데 황무지로 남겨진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전경. |
ⓒ 양산시민신문 |
양방항노화과는 “우리도 (양산캠퍼스 개발을) 총괄하는 부서가 아니라 다만 대통령 공약사업 관련 미래전략사업 인프라 구축을 위해 고민하는 정도”라며 “양산캠퍼스가 우리(양산시) 소유도 아닌 만큼 실제 개발방안 마련에 걸림돌이 많다”고 덧붙였다.
결국 TF회의 결과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했다는 의미다. 오히려 양산캠퍼스 개발 관련 문제를 연구ㆍ고민할 담당 부서조차 명확하지 않다는 점만 드러냈다. 이는 양산캠퍼스 유휴부지가 앞으로도 장기간 현 상황대로 방치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기도 하다.
이에 물금읍에 거주하는 한 시민은 “그 땅이 누구 소유건 간에 지역 발전과 밀접한 영향력을 가진 만큼 지자체에서 당연히 발전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것”이라며 “특히 지금처럼 부산대가 아무런 계획을 못 세우고 있다면 양산시가 좋은 방안을 마련해 먼저 제안하고, 부산대가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압박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여기에 지역 교육계 숙원 사업인 ‘특성화고’ 부지로 활용하려던 계획마저 사실상 협의점을 찾지 못한 체 제자리를 맴돌고 있어 양산캠퍼스 개발에 대한 우려가 크다. 양산시 역시 지역 발전을 위해서라도 양산캠퍼스 개발은 필수라고 강조하면서도 정작 자체적인 대안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등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채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