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공업지역 지정 20년… 난개발에 공장도, 주민도 ‘불편’..
사회

공업지역 지정 20년… 난개발에 공장도, 주민도 ‘불편’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8/01/16 11:38 수정 2018.01.17 11:38
[이슈&현장] 도로ㆍ기반시설 없이 공장 허가
차량 교행 안 되는 불편한 도로, 대형 물품 공장은 입주도 어려워
공장 사이 못 쓰는 공터만 늘어, 난립한 공장 탓 주민 피해 극심
“지금이라도 체계적 계획 세워서 공업지역 목적이라도 이뤄야”

소토공업지역이 무계획,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 소토공업지역은 상북면 소토리 소노마을에서부터 내전마을까지 이어진다.



과거 자연마을이었으나 지난 1997년 공업지역으로 지정해 공장이 들어섰다. 현재 소토공업지역에 공장 등록한 업체는 모두 170여곳이다. 주민은 3개 마을에서 약 150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소토공업지역의 가장 큰 문제는 난개발이다. 일반산업단지와 달리 계획 없이 공장을 허가하다 보니 거주지역과 공장지역이 뒤섞여 있고, 제대로 된 도로조차 없는 곳이 많다. 집 가까이 공장이 들어선 탓에 주민 불편은 당연하고 입주한 공장 역시 도로가 없어 어려움이 많다.

















↑↑ 소토공업지역 전경
ⓒ 양산시민신문


주민들은 “1997년 공업지역으로 지정한 이후 제대로 뭔가 이뤄지는 걸 못 봤다”며 “계획 없이 공장만 개발 하니 마을 전체가 불편하고 불균형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한 주민은 “예전에 농로로 이용하던 곳이 그대로 길이 돼 버렸다. 차라리 공업지역이면 공업지역답게 공장들이라도 제대로 정비했다면 모르겠는데 이도 저도 아닌 상태가 됐다”고 꼬집기도 했다.


그는 “공장이 두서없이 들어서다 보니 토지 활용도 효율이 엄청 떨어진다”며 “공장과 공장 사이 쓸 수 없는 땅들이 한 둘이 아니”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 무계획적으로 허가한 공장으로 소토공업지역이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사진은 소토공업지역 공장 위치도)
ⓒ 양산시민신문


뿐만 아니라 마을 인근에 있는 소토초등학교 경우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학생 통학 위험이 커지고 환경오염 우려가 심화하자 학교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소토초 학부모들이 “학교 주변은 모두 공업지역으로 공장 속에 덩그러니 학교만 놓여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마을 이장 역시 “젊은 부부 상당수가 마을을 떠나고 있고, 그들 중에 상당수가 교육문제로 이사를 결정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교육환경이 심각하다는 것을 다시 실감했다”며 소토초 이전을 강도 높게 요구하기도 했다.


공장을 운영하는 업체도 불편하긴 마찬가지다. 공장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도로가 가장 문제다. 현재 소토공업지역은 산막공단1길에서 이어지는 소토로와 소토로에서 뻗어 나온 소토2길, 와곡4길을 빼면 2차선 도로가 거의 없다. 사실상 도로라 할 수 없는, 차선조차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대형차가 드나들기 힘든 것은 물론 작은 승용차도 서로 비켜 가기 힘든 곳이 많다.
















↑↑ 좁은 도로 탓에 대형 차량 통행이 어려워 공장들이 납품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 공장과 공장 사이 남은 공터는 진입로조차 없어 아무런 개발행위도 못 한 채 방치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조선 관련 부품업체 관계자는 “이곳은 공업지역으로 지정돼 있을 뿐 제대로 정비된 곳은 아니다 보니 공장이 다들 어지럽게 돼 있어 공장을 증설하고 싶어도 어렵다”며 “무엇보다 납품 차량이 드나들기 힘들어 불편이 크다”고 말했다.


결국 소토공업지역을 제대로 활용하고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계획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주민들과 공장주들은 우선 도시계획도로를 제대로 개통해야 한다고 말한다. 도로와 함께 부지 활용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산업단지를 포함해 양산지역 전체 공업지역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주민 박재우 씨는 “양산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양산지역 공업지역 전체 면적이 1천370만㎡ 정도인데 그 가운데 실제 공장허가 면적은 660만㎡ 정도”라며 “도로나 기타 시설을 감안하더라도 공업지역으로 지정해 놓고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박 씨는 “산업단지나 공업용지가 부족하다고만 말하지 말고 기존 부지라도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세밀한 계획을 세우는 게 필요하다”며 “먼저 공업용지 내 도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먼저 갖춘다면 난개발을 막고 토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