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특구로 지정되면 각종 세제 혜택은 물론 인허가 간소화와 연간 100억원 규모 국비 지원 등 상당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양산시는 이달 안으로 강소연구특구 추진에 따른 전문기관 용역을 발주하는 등 준비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용역에는 종합계획과 환경영향평가 등의 내용을 담게 된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하반기 경남도에 특구 지정을 신청할 방침이다. 용역 발주와 더불어 부산대와 양산상공회의소 등 관계자들을 만나 사업 추진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양산시에 따르면 관계 기관들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사전 방문해 강소연구특구 추진에 대해 논의했으며, 정부측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양산시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거점으로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약 67만㎡와 동면 가산일반산업단지, 양산일반산업단지를 연구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만약 연구특구로 지정받을 경우 동남권 의생명 특화단지 조성사업과 항노화 산업 등 양산시 역점사업이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산시는 양산부산대병원 연구시설과 산단을 중심으로 한 R&D기업 육성 등 지역기업 첨단화 작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산시뿐만 아니라 조용국 양산상공회의소 회장과 전호환 부산대 총장 역시 강소연구특구 추진에 적극 돕겠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사업 성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