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원 선거구는 5일 결정됐다. 국회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6.13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을 위해 의결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양산지역 경남도의원 정수는 기존 3명에서 4명으로 늘었다. 선거구도 일부 조정돼 제1선거구(중앙ㆍ삼성ㆍ강서ㆍ상북ㆍ하북), 제2선거구(물금ㆍ원동), 제3선거구(동면ㆍ양주), 제4선거구(서창ㆍ소주ㆍ덕계ㆍ평산)가 됐다.<본지 714호, 2018년 3월 6일자>
이어 6일 양산시의원 선거구 획정 잠정안이 발표됐다. 경남도 시ㆍ군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에 따르면 양산시의원 정수는 기존 16명에서 17명(지역구 15명, 비례 2명)으로 1명 늘었다. 선거구에도 변화가 있다. 가장 큰 변화는 강서동이 기존 선거구에서 떨어져 상북ㆍ하북과 하나로 묶이고, 서창ㆍ소주와 덕계ㆍ평산이 하나의 선거구로 묶이면서 4인 선거구가 됐다는 점이다.
정리하면 양산시의원 선거구는 가 선거구(상북ㆍ하북ㆍ강서) 2명, 나 선거구(중앙ㆍ삼성) 2명, 다 선거구(물금ㆍ원동) 4명, 라 선거구(동면ㆍ양주) 3명, 마 선거구(서창ㆍ소주ㆍ덕계ㆍ평산) 4명이다. 2인 선거구 2곳과 3인 선거구 1곳, 4인 선거구가 2곳이다.
다만, 양산시의원 선거구는 잠정안인 만큼 변동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모두 4인 선거구로 묶인 웅상지역 4개동을 현행대로 서창ㆍ소주와 덕계ㆍ평산으로 나눠 2인 선거구로 하자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선거구획정위는 각 시ㆍ군과 정당 등 의견을 수렴해 최종 획정안을 마련해 도의회에 넘기고, 도의회가 의결해야 이번 선거에 적용된다.
![]() |
ⓒ 양산시민신문 |
의원 정수와 선거구 획정안이 발표되면서 지역 정치권에 파장이 일고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발언 후폭풍과 무소속 출마자들 거취도 윤곽이 잡히면서 각 정당과 출마예정자들이 손익 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무소속이던 김종대 전 양산시의회 의장이 지난 5일 민주당에 입당하면서 도의원 출마를 준비 중이다. 김 전 의장은 애초 제3선거구(동면ㆍ양주) 출마가 예상됐으나, 제2선거구(물금ㆍ원동)로 방향을 선회했다. 이에 따라 현역인 김성훈 도의원, 예비후보로 등록한 이상열 양산서전학원 원장과 치열한 당내 경쟁을 벌이게 됐다.
민주당 입당을 타진했으나 좌절된 박인 전 도의원은 무소속으로 제4선거구(서창ㆍ소주ㆍ덕계ㆍ평산) 도의원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제4선거구에는 시의원 출마가 예상되던 자유한국당 김판조 웅상포럼 회장이 도의원 출마로 방향을 돌리면서 선거 구도에 변화가 생겼다.
의장 출신 후보자 동급 선거 출마 불가라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발언으로 발이 묶인 전ㆍ현 시의회 의장 거취 또한 이번 선거의 변수로 떠올랐다.
한옥문 전 의장은 도의원 제1선거구(중앙ㆍ삼성ㆍ강서ㆍ상북ㆍ하북) 출마로 뜻을 굳히고 11일 경남도당에 공천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3선에 도전하는 정재환 의원과 앞서 출마 의사를 밝힌 최영호 전 시의원, 박성준 전 양산청년회의소 회장과 당내 진검승부를 벌이게 됐다.
자신의 지역구인 상북ㆍ하북 시의원 출마를 준비 중이던 정경효 의장은 중앙당 방침에 반발해 12일 자유한국당을 탈당했다. 정 의장은 무소속으로 시의원 가선거구(상북ㆍ하북ㆍ강서)에 출마할 방침이다. 가 선거구는 기존 선거구인 상북ㆍ하북이 전통적인 보수진영 우세 지역이었으나 진보성향 유권자가 상당수 있는 강서동과 묶이고, 자유한국당 성향인 정 의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상대적으로 민주당 후보가 선전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의원정수 확대와 두 선거구 통합으로 4인 선거구가 된 다선거구(물금ㆍ원동)와 마선거구(서창ㆍ소주ㆍ덕계ㆍ평산)도 주목받고 있다.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선거전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상황에 따라 진보진영 우세 지역에서 보수가 선전하거나 그 반대의 현상이 나올 수 있다. 또한 바른미래당 등 제3당과 무소속 출마자 당선 가능성도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