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오랫동안 주먹구구 운영돼 온 아파트 관리 문제점을 파헤치겠다”며 “앞으로 입주자대표회의가 회계, 운영을 투명하게 진행해 입주민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행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양산시는 이에 지난 1월부터 공동주택과 내 주택감사팀을 신설하고 전담 인력 3명을 두기로 했다. 이들은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상시 감사를 벌이고 운영 문제를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경남도 18개 지자체 가운데 주택감사팀을 신설한 지역은 김해시에 이어 양산시가 두 번째다.
이번 주택감사팀 신설은 과거 경남도가 담당하던 공동주택 감사 권한이 올해부터 양산시로 옮겨졌기 때문이다. 감사는 중앙집중식 난방 공급 경우 150세대 이상, 일반 난방 경우 300세대 이상 승강기가 있는 아파트를 의무 관리 대상으로 한다.
양산시는 123개 아파트단지가 해당되며, 올해 우선 13개 단지를 대상으로 감사한다. 감사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회계사와 아파트 관리소장 경험이 있는 주택관리사도 함께한다.
ⓒ 양산시민신문 |
한편, 지난 2014년부터 양산지역 아파트 35곳을 대상으로 벌인 감사 결과 모두 422건의 지적사항이 나왔다. 감사 결과 관리비 수입과 지출 부분에서 가장 문제가 많았다. 회계 계정항목에 맞지 않거나 아무렇게나 지출되는 경우다. 또한 아파트 내부 사업 발주에서 절차를 무시하고 수의계약하거나 적격심사를 거치지 않고 특정 업체를 밀어주는 경우도 적발했다.
입주자 대표회의 구성 과정에서 선거 절차를 무시하고 선거일을 임의로 연기하거나 선거 결과를 뒤집은 경우도 있었다.
이수철 주택감사팀장은 “앞으로 민원 발생이 많은 아파트는 불시 감사를 진행하고 지역 분포를 감안해 감사를 할 예정”이라며 “입주자대표회의와 동대표를 모아 감사 결과를 설명해 이해를 돕고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