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 11일 부산시청에서 양산시와 부산시, 부산지역 국립대 연합(부산대, 부경대, 한국해양대)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연구원 설립에 서로 노력하기로 했다.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은 우리나라 최초 국가 단위 지진전문 연구기관이다. 양산시는 앞으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연구원 설립을 정부에 촉구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부산시는 부산발전연구원에 연구원 설립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연구 결과 “기존 지진연구원 하부조직 형태 연구센터 설립을 넘어 세계적 수준의 연구원 설립이 필요하다”며 관련 인력과 기술을 확보하고 독립ㆍ종합적 전문 연구기관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지진 전문 연구기관의 부재로 대규모 지진 발생 때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는 점, 지진 발생 후 연구 수행기관 사이 엇갈린 분석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 양산시민신문 |
연구원을 부산권에 설립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ㆍ울ㆍ경 통합 1천만 인구이며, 수도권 중심을 벗어나 부산권을 중심으로 국가 발전 견인이 필요하다”며 “부산권역은 각종 인프라와 지원체계를 활용하고 인접 지자체 연계개발, 대학ㆍ연구기관ㆍ기업 등 산ㆍ학ㆍ연 집적단지 조성에 강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와 지질재해산업자원연구소,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재해시스템 사업단, 활성단층 및 지진재해 저감 연구소를 바탕으로 국내 최고 해양플랜트 교육과정과 해양구조물 내진 성능 확보 전문인력을 보유한 한국해양대학교 등 지진 관련 인프라가 국내 최고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부산발전연구원은 5실 1센터 18팀 규모 연구원 설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더불어 연구원 설립을 위한 입지 선정 조사 결과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최적 장소로 꼽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부지 환경적 요인과 연구 환경적 요인, 도시 계획적 요인을 모두 평가한 결과 옛 부산외대 부지와 부경대 용당캠퍼스, 에코델타시티, 부산대 양산캠퍼스를 비교한 결과 부산외대 18점, 부경대 용당캠퍼스 17점, 에코델타시티 22점에 비해 부산대 양산캠퍼스는 총점 25점으로 연구원 설립 최적지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한편, 양산시 안전총괄과는 연구원 설립에 대해 “유휴부지로 방치된 부산대 양산캠퍼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물론 최근 지진으로 불안을 느끼는 시민을 위해서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특히 우리나라 최초 국가 단위 지진전문 연구기관을 유치하게 된다면 도시브랜드 상승과 함께 경제 유발효과까지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