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렌스는 지난 17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18 대한민국 혁신성과 보고회’에서 가상현실 사이버ㆍ물리시스템(CPS)을 도입한 스마트 공장 구축사례를 발표했다.
조용국 회장은 문 대통령 앞에서 가상 시스템과 실제 공장을 비교하며 스마트 공장 이론을 설명했다.(사진)
CPS는 사이버ㆍ물리시스템이 상호작용하는 컴퓨터 기반장치로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자동차 배기가스 저감장치(EGR) 제조기업인 코렌스는 유디엠텍이 개발한 CPS를 2016년 국내 최초, 세계에서 3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공정을 자동화하고 스크린을 이용한 통합ㆍ원격제어로 제품을 생산하게 된 것이다.
![]() |
↑↑ 조용국 코렌스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스마트공장 사례발표를 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조 회장은 “이 공정이 완료된 후 원가는 연평균 45억원 절감했고, 생산성은 16% 향상됐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 공장 완비로 생산 불량률은 98.33%, 납품 후 불량률은 95.83% 감소했다”며 “이에 2015년 900억원까지 떨어졌던 신규 수주금액이 지난해 1천585억원, 올해 3천096억원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또한 청년 일자리 역시 143명에서 204명으로, 연구직은 42명에서 132명으로 늘리게 됐다고 덧붙였다.
코렌스는 스마트 공장 구축을 바탕으로 2022년 세계 12개국 30개사에 납품, 연 매출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로 생산성 향상과 매출 증대로 기업 성장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투자 여력을 확보하는 선순환이 가능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M&A로 전기자동차 냉각배터리 등 신규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어곡산단에 위치한 코렌스는 현대자동차와 BMW, 포드사 등에 자동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미국에도 현지 공장을 가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