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홍성현 본지 편집국장 | ||
ⓒ 양산시민신문 |
동(洞)지역 후보들은 하나같이 ‘도서관 건립’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특히, 최근 인구가 급증한 동면 석ㆍ금산지역 공약에서 도서관 건립 공약은 빠지지 않는다.
이밖에 중앙동과 삼성동 등 원도심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원도심 활성화를, 상북면과 하북면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노인복지관 건립을, 동면과 양주동, 물금읍 등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 공약의 구체성이 떨어진다. 후보 간 차별성을 찾기 어렵고 구체성이 떨어지다 보니 일단 내뱉고 보는 ‘묻지마 공약’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너도나도 내세우는 변별력 없는 공약이 쏟아지는 상황이라면 결국 그것을 실현할 후보의 능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 유권자 입장에서 정작 중요한 후보의 능력을 검증할 만한 잣대를 찾기란 쉽지 않다.
현역 단체장이나 도ㆍ시의원의 경우 그들이 그동안 어떤 활동을 펼쳐왔는지에 대한 정보는 너무나도 부족하다. 물론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을 찾아보고, 의회 속기록이나 법안처리 현황 등을 뒤져보면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그렇게 할 유권자는 거의 없다.
선거 때면 항상 나오는 말이 있다. “당 공천만 받으면 된다”, “본선(선거)보다 예선(당내 경선)이 더 어렵다”, “저 사람은 능력은 뛰어난데 무소속이라 어렵겠다” 따위의 말이다. 그동안 우리는 정당에 가려 후보의 능력은 뒷전인 지방선거를 매번 치러오고 있다.
이쯤에서 이번 칼럼에서 하고 싶은 말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등 지방선거의 정당공천을 반대한다는 것이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제는 2006년 지방선거부터 도입됐다. 공정한 정당시스템을 통해 유능한 지역인재를 발굴하고, 책임정치를 실현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취지와 달리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에 예속되고 정당에 따른 편 가르기라는 중앙정치의 악습이 그대로 지방정치에 전가되는 사태만 불러왔다.
정치권에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폐지에 합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19대 국회에서 정당공천제 폐지 법안을 6차례나 냈지만 심의조차 하지 않았고, 20대 국회에서는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방정부가 각 지역 상황에 맞는 생활정치를 구현하고, 민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능력 있는 사람이 소신껏 정치와 행정을 펼칠 수 있어야 한다.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의 정당공천제 폐지는 그 시작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