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청와대 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송인배 제1부속비서관을 공석인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했다.
조한기 의전비서관은 제1부속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을 보좌해온 김종천 비서실장 선임행정관은 의전비서관을 맡는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에 윤종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특명전권대사, 일자리수석에는 정태호 정책기획비서관, 시민사회수석에는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양천을 지역위원장을 임명했다.
이번 청와대 인사에서 지역 정치권의 관심사는 송인배 비서관의 자리 이동이다. 청와대는 제1부속비서관이 격무에 시달리는 자리인 데다 순환 배치 차원이라고 인사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대통령 최측근이자 누구보다 문 대통령 의중을 잘 아는 인사로 꼽히는 송 비서관의 자리 이동은 단순한 순환 배치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일부에서는 21대 총선을 염두에 둔 인사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무비서관은 법안과 예산 등 민감한 현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야당 국회의원들과 빈번하게 접촉하면서 청와대와 국회의 이견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그만큼 대외활동도 자유롭다. 총선 출마가 확실시되는 송 비서관의 외연 확장을 위해서라는 것이다.
![]() |
ⓒ 양산시민신문 |
문제는 송 비서관이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인 이른바 ‘드루킹 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청와대 인사가 발표되자 송 비서관은 즉각 야당의 표적이 됐다. 신보라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기소될 수도 있는 사람을 국회와 가교 역할을 하는 정무비서관에 임명한 것은 청와대의 소통 의지가 의심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드루킹 댓글조작 의혹 수사를 맡은 허익범 특별검사가 “송 비서관의 정무비서관 임명이 수사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김성태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송인배를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한 것은 정권 차원에서 특검을 애써 무시하려는 작태”라고 날을 세웠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 역시 “청와대가 특검에 영향을 미칠 의도가 아니었다면 송 비서관을 재임명할 것이 아니라 특검 수사부터 받도록 했어야 한다”고 비판에 가세했다.
한편, 지역 정치권의 맞수인 송 비서관과 자유한국당 윤영석 국회의원의 정치적 입지 변화도 눈길을 끈다. 두 사람은 19대와 20대 총선에서 이미 두 차례 맞붙여 격전을 벌였고, 오는 21대 총선에서 세 번째 맞대결이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송 비서관이 국회, 그중에서도 특히 야당을 빈번히 상대하는 정무비서관으로 임명되고,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에 윤 의원이 당내 공격 선봉장격인 수석대변인에 선임되면서 지역에서는 물론 중앙 정치권에서도 맞부딪힐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