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이 사회문제가 된 지 오래다. 하지만 뾰족한 대책 마련이 어려운 데 비해 수법은 계속 교묘해지다 보니 피해자는 늘어만 간다. 최근에는 양산지역에서도 피해자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지역 국회의원에 연락해 하소연하지만 국회의원도 해법을 찾기 어려운 건 마찬가지다.
윤영석 의원(자유한국, 양산 갑)실은 “최근 의원실로 보이스 피싱 피해자들이 전화를 걸어와 안타까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유사한 피해 사례가 더 늘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보이스 피싱은 저축은행 등 제2, 제3금융권에서 보낸 것처럼 꾸민 가짜 대출 문자를 보낸다. 문자를 받은 사람이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어 연락처를 남기면 사기꾼들이 다시 전화하는 형태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들은 대출 관련 수수료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거나 저신용자들 경우 신용 등급을 높이는 작업을 위해 돈이 필요하다는 등 다양한 이유를 대며 돈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문자에 ‘정부 지원’, ‘서민상품’, ‘서민금융’, ‘햇살론’, ‘심의 필’ 등의 단어를 넣어 마치 정부 공식 대출상품인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치밀함도 보이고 있다.
윤 의원실은 “시중 은행들이 고금리 정책을 지속하면서 서민을 대상으로 하는 보이스 피싱 사기가 매우 조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무엇보다 전화로 대출상담을 하는 것 자체를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의를 요구했다.
윤 의원실은 “국회에서도 관계 법령 개정으로 보이스 피싱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기 수법이 날로 교묘해져 법령 개정만으로 쫓아가기 힘든 게 현실”이라며 “우선 국민 스스로 각종 수수료를 핑계로 돈을 먼저 보내 달라는 요구는 무조건 보이스 피싱으로 간주하고 즉각 경찰에 연락해 피해를 원천 봉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산경찰서 역시 “금융거래에 있어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부분이 있으면 일단 신고부터 해야 한다”며 “경찰 등 관공서에서는 절대 개인정보나 돈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금융사기 피해 예방법을 숙지해 유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