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홍성현 편집국장 |
ⓒ 양산시민신문 |
|
‘폭염’의 대명사는 대구였다. 대구와 아프리카의 합성어인 ‘대프리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다. 하지만 최근 영남권, 특히 양산의 기온도 심상치 않다. 폭염의 신흥강자로 떠오른 밀양과 서부경남 등에 밀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고 있지만 양산의 여름 기온은 전국에서 수위(首位)를 다툰다. 지난 주말에도 낮 최고 기온이 37℃ 가까이 오르며 대구, 경북, 부산, 울산을 비롯해 경남에서는 합천, 창녕, 함안, 밀양, 김해와 함께 폭염경보가 발효됐다. 지난해 8월 6일에는 38.3℃, 7일에는 38.7℃까지 치솟아 양산지역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하기도 했다.
기상청은 올여름 유난히 더 더울 것이라고 예보하고 있다. 본격적인 한여름 더위도 아닌 여름의 문턱인 7월 초순부터 이럴진대 앞으로 남은 여름나기에 걱정이 앞선다. 홀몸 어르신 등 취약계층은 걱정이 태산이다.
양산시는 지난 6월부터 9월 30일까지를 폭염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종합대책을 수립ㆍ추진하고 있다. 안전총괄과를 중심으로 보건소, 사회복지과, 농업기술센터, 읍ㆍ면ㆍ동행정복지센터 등 관련 부서와 합동TF팀을 구성해 폭염 대응에 나섰지만 실효성 측면에서 의문이 든다. 지난해와 크게 다를 바도 없다. 취약지역 예찰ㆍ관리 강화, 취약계층 관리, 물놀이장 운영, 그늘막 설치, 도심녹화사업, 폭염 대비 행동요령 홍보, 건설ㆍ산업현장 무더위 휴식시간제 운영 권고 등이다.
대책을 마련하는 입장에서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자연현상에 당장 어떻게 대응하란 말인가’라는 볼멘소리가 나올 수도 있겠지만 양산시의 폭염 대책은 일회성에 지나지 않는다. 획기적인 폭염 대책 수립이 쉽지는 않겠으나 종전과 다른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여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한두 해 반짝 덥다가 그칠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양산이 앞으로 ‘양프리카(양산+아프리카)’라는 달갑지 않은 별칭을 얻지 않으려면 도심 녹화에 사업에 주력해야 한다. 폭염은 피할 수 없는 자연현상이지만 달궈진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건물, 기업체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열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지난해 산림청 산림과학연구원에 따르면 열화상 카메라로 분석한 결과 교통섬 나무 그늘은 평균 4.5℃, 가로수는 평균 2.3~2.7℃까지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섬 나무 그늘이 효과가 큰 이유는 잎이 많은 키 큰 나무가 증산작용을 활발히 해 기온을 낮추고,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제 여의도광장에 숲 조성 전인 1996년과 2015년의 표면 온도를 비교한 결과 1996년에는 광장이 주변보다 표면 온도가 평균 2.5℃ 높았지만, 숲 조성 이후인 2015년에는 오히려 주변보다 0.9℃ 낮았다. 도심 가로수는 단순한 관상용이 아닌 폭염 피해를 줄이는 기반시설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도심 열섬현상과 열대야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대구시는 2009년 ‘클린로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도로 중앙분리대에 살수 노즐을 설치해 노면에 물을 뿌려 세척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달궈진 아스팔트 도로를 식혀 열섬현상을 막고, 미세먼지까지 해결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하는 물은 버려지는 지하수를 활용해 1석 3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대구 도심에서 클린로드 시스템을 가동한 결과 지표 온도가 무려 20℃, 체감온도는 3~4℃가량 낮아졌으며, 미세먼지가 28%나 줄었다고 한다.
대구는 여기에 더해 아스팔트 도로를 시공할 때 차열성 포장 공법을 도입하기로 했다. 차열성 포장이란 노면에 태양에너지의 적외선을 반사하는 단열성 수지를 바르고, 단열 모르타르를 메워 일반 아스팔트보다 노면 온도를 10℃ 이상 낮추는 공법이다. 차열성 포장은 서울시가 최초로 시범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은 2000년부터 도쿄 도심지역 도로에 적용해 확대하고 있다.
양산시도 이제 폭염 대책에 대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자연현상을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