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낙동강 조류경보 ‘경계’ 단계 상향 조정… “먹는 물 괜..
사회

낙동강 조류경보 ‘경계’ 단계 상향 조정… “먹는 물 괜찮나” 시민 우려 커져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8/08/14 09:16 수정 2018.08.14 09:16
김일권 시장, 서형국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
원동ㆍ물금취수장, 신도시정수장 현장점검
양산시, 수질검사ㆍ정수시설 총력 대응 나서

유례없는 폭염으로 낙동강 창녕함안보 구간 남조류가 급증해 조류경보가 ‘관심’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되면서 식수에 대한 시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양산시에 따르면 지난 1일 낙동강 창녕함안보 조류 검사 결과 남조류 개체 수가 10만941cells/㎖ 검출됨에 따라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됐다.


녹조현상은 수온이 섭씨 20℃ 이상 더운 날씨가 7일 이상 계속될 경우 남조류가 번식하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유속이 느리거나 수중에 질소나 인 등 영양분이 충분할 때 대량 발생하고, 조류는 정수처리과정에서 침전 불량이나 수돗물에 냄새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 김일권 양산시장과 서형수 국회의원(민주, 양산 을), 신진수 낙동강 유역환경청장, 이상열ㆍ성동은 경남도의원, 임정섭 양산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 등 양산시의원, 관계 공무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원동ㆍ물금취수장과 양산신도시 정수장에서 낙동강 조류 발생에 따른 대응 실태와 녹조 발생 현장을 점검했다.














ⓒ 양산시민신문


김일권 양산시장은 “낙동강 조류 경계 단계 발령으로 수돗물에 대한 시민 불신이 생기지 않도록 정수처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지시하고 “조류 발생으로 활성탄 여과시설의 활성탄 교체 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연 10억원의 추가 비용이 소요됨으로 이에 대한 국비를 지원해달라”고 서형수 국회의원과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에게 요청했다.


서형수 의원은 “이번 현장점검을 통해 문제가 되는 녹조현상으로 인한 시민의 음용수 수질문제를 파악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히 마련해 마음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식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해마다 되풀이하는 녹조 발생으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지방자치단체 정수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녹조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낙동강 상류 보를 개방해 줄 것”을 환경부에 건의했다.


한편, 양산시는 조류경보 경계 단계 발령에 따라 원수와 정수에 대한 수질검사를 주 2회로 늘려 수질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취수탑 주변 녹조 차단막과 취수장 유입부에 살수 시설을 설치해 가동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이산화탄소 주입기를 설치ㆍ운영해 조류에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양산시는 고도정수처리 시설(오존처리시설과 활성탄 여과시설)을 운영해 냄새를 유발하는 지오스민, 2-MIB,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LR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양산시에서는 사업비 47억원(국비 33억원, 시비 14억원)을 들여 낙동강 원수에서 유입되는 녹조 발생으로 인한 피해와 유기성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전오존처리시설을 현재 설치 중에 있으며, 2019년 10월께 완료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