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체육회(이하 체육회)가 내부 감사 결과 지난 3년 동안 예산 낭비는 물론 체육회 임원이 운영하는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는 등 현행법 위반과 횡령 가능성까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진이 확인한 바에 의하면 체육회는 지난해 경상남도 생활체육대축전 당시 운영평가 워크숍 계약을 지역 A고속관광업체와 맺었다. 사업비(예산)는 전체 3천500만원이었으며, 30명이 참가하기로 했다. 견적서에도 30명이 참석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하지만 실제 참가자는 21명이었다. 체육회는 불참자 9명에 대한 여비 정산을 하지 않았다. 21명이 참석했지만 30명 참석으로 예산을 처리한 것이다. 견적서 상 일정표대로 진행하지도 않았다. 숙소 수준 역시 견적에 미치지 못했으며, 일부 직원이 고급 식사와 유흥 등으로 경비(예산)를 지출한 것도 확인했다.
기념품 구매에서도 이상한 점이 발견됐다. 체육회는 B업체와 기념품 구매 계약을 체결했는데 물품 구입비를 세 차례(9천900만원, 2천만원, 4천만원)로 나눠 지출했다. 감사보고서는 이를 입찰을 피하고자 구매비를 쪼갠 정황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세 차례에 나눠 지출한 구매비용 가운데 일부는 수의계약이 불가능한 2천만원 이상이었다.
물품 구매 금액도 정상 거래가격과 맞지 않았다. 개당 2천300원짜리 물품을 4천원에 구매한 것이다. 당시 생활체육대축전 TF팀 내부에서도 과도한 금액이라는 지적이 있었으나 담당책임자(국장)가 거래를 진행했다고 지적했다.
개인 비위도 적지 않았다. 전임 국장 등 일부 체육회 간부들이 개인 신용카드를 사용한 뒤 현금을 받아갔다. 활동비 명목으로 늦은 시각 고급 식당에서 유흥비로 예산을 지출했지만 내부 결제 절차는 없었다. 감사보고서는 이에 대해 개인 유용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체육행사에 필요한 장비나 비품 구매도 체육회 간부들이 운영하는 업체가 독점했다. 금액이 클 경우 계약을 쪼개 수의 계약으로 진행하거나, 경쟁 입찰을 하더라도 내부 평가에서 임원 업체를 편파적으로 우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 같은 내부 밀어주기로 홍보물 인쇄 계약을 맺었지만 홍보물 제작이 늦어 정작 행사에는 사용하지도 못하고 전량 폐기한 사례까지 있었다.
‘카드깡’ 의혹도 제기됐다. 행사 후 예산이 남을 경우 남은 금액을 체육회 관계자가 운영하는 업체 물품을 구매하지도 않고 결제했다. 내부에서 문제를 지적하고 양산시 체육지원과에 보고도 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
이 밖에도 식비 사용 목적으로 발행한 법인 카드를 고위 간부가 독점 사용하거나, 운동부 숙소 보증금(500만원)을 돌려받은 내용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해마다 열리는 ‘양산전국하프마라톤대회’와 관련한 문제도 지적됐다. 전체 예산이 3억3천만원짜리 사업인데 경쟁 입찰 없이 수년간 관행적으로 C신문사가 행사를 대행한 점이다. 감사보고서는 “(수의계약) 문제가 지적되자 지난해부터 입찰로 계약 형태를 바꿨지만 다른 행사대행업체들은 공고를 알 수 없도록 형식만 갖춘 정황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C신문사로부터 행사비 사용에 대한 매입세금계산서는 받았지만, 행사대행 수수료 관련 매출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세무신고가 적법하게 이뤄졌는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감사보고서는 이 같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다수의 증빙 불비, 무단지출, 관련법 위반은 물론 회계와 자금관리 감시기능 부재로 예산의 비효율적 사용, 낭비, 횡령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양산시체육회는 “이번 감사 결과를 회장(김일권 시장)에 보고했고, 내달 6일 열리는 이사회에 보고해서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양산시가 양산시체육회에 지원한 예산은 25억2천6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