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성공 열쇠는 ‘차별성’과 ‘구체성..
정치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성공 열쇠는 ‘차별성’과 ‘구체성’

장정욱 기자 cju@ysnews.co.kr 입력 2018/11/27 09:09 수정 2018.11.27 09:09
■ 의ㆍ생명특화단지 정책 세미나
윤영석ㆍ서형수 국회의원 주최
생명안전환경센터 등 사업 설명
정부ㆍ전문가 모두 필요성 공감

오송ㆍ대구 등 기존 도시와 차별
연구 결과 실제 산업 이어질 필요

문재인 대통령 대표 공약이자 양산지역 미래 먹거리 핵심 정책으로 떠오르고 있는 ‘동남권 의ㆍ생명 특화단지 조성사업’ 관련 정책세미나가 지난 23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강당에서 열렸다. 윤영석ㆍ서형수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경남도와 양산시, 부산대, (주)미래병원경영컨설팅이 주관한 이번 세미나는 많은 방청객이 객석을 가득 채운 가운데 2시간 넘게 이어졌다.















ⓒ 양산시민신문



먼저 김재선 미래병원경영컨설팅 대표가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조성 마스터플랜’을 주제로 발표를 시작했다. 김 대표는 ▶양산부산대병원을 중심으로 하는 의료 클러스터 ▶R&D기관 유치를 위한 부지가 확보 ▶수도권 다음의 최대 인구 밀집 지역 ▶조선/자동차 산업 붕괴에 따른 대체산업 육성 필요 ▶김해 항노화단지와 연계하는 시너지 효과 등을 손꼽으며 부산대 양산캠퍼스에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조성 당위성을 강조했다.


김 대표 발표에 이어 강동묵 부산대 의과대학 교수가 동남권 의ㆍ생명 특화단지 내 실제 추진할 연구기관으로 ‘생명안전환경연구센터(HSE)’ 구축 사업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강 교수는 인류 생명을 위협하는 화학물질 사용과 생활환경 안전 문제로 ‘케모포비아’(chemifobia, 화학성분에 대한 공포) 확산을 지적하며 환경성 질병에 대한 예방과 관리 중심으로 의료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 교수는 “특히 동남권은 국내 화학물질 유통의 35.2%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남지역 초미세먼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발암물질 함량이 높다”며 이에 대한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생명안전환경연구센터 설립을 바탕으로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오세옥 부산대 의과대학 교수는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구축을 제안했다. 오 교수는 ICT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헬스케어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동남권 의ㆍ생명특화단지 조성을 설명했다. ICT 융합기술을 도시건강 문제에 적용해 지역 주민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오 교수는 산업과 학교(대학), 연구기관과 병원의 연계를 강조했다. 그런 차원에서 양산부산대병원을 중심으로 하는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본 사업에 가장 적절하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주제 발표에 이어 전문가 자유 토론에서는 위 사업들에 대한 필요성에 모두 공감했다. 정재원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 사무관은 “특히 헬스케어 스마트시트 구성에 공감한다”며 “다만 구체적인 연구 고민이 좀 더 필요한 것 같고, 필요하면 중앙부처 공모사업을 신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다”고 조언했다.


임호주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 사무관은 생명안전연구센터에 대해 “오염물질 관리에서 사람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 우리도 센터 필요성은 고민 중인데 국가 중심으로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며 “오늘 발표대로 지역을 중심으로 기반을 갖춘다면 충분히 성공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남후희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팀장 역시 “사업의 배경과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고, 특히 양산은 대형 병원이 있다는 아주 좋은 장점을 갖고 있다”며 “다만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의 한계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양산은 기업과 연계성을 높이고 병원(연구기관)의 기술개발이 사업화로 이어져 결국 고용 등 지역 경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