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양산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양산시는 현재 31개 부서에서 모두 76개 위원회를 운영 중이다. 대부분 조례로 위원회 활동 범위와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 위원회는 지난 5년 동안 위원회를 한 번도 열지 않았다. 다른 위원회 역시 서면으로 회의를 대체하는 등 위원회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부서별로 살펴보면 먼저 공동주택과 경우 공동주택분쟁조정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지만 회의는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분양가심의위원회 역시 2015년 이후 단 한 번도 회의를 열지 않았다.
일자리경제과 유통분쟁조정위원회도 마찬가지다. 회의는 한 차례도 없었다. 물가대책위원회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해마다 한 차례씩 위원회를 열었지만 지난해와 올해는 회의하지 않았다.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도 2016년에 대형점포(마트) 영업시간 제한에 관한 내용으로 위원회를 한 차례 열었을 뿐이다. 하수과 지하수관리위원회도 지난해 8월 물금신도시 지하수 개발 허가 관련 회의를 연 게 전부다.
민원지적과의 경우 도로명주소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는데 2014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6차례 위원회를 열었다. 이 가운데 4차례를 서면으로 진행했다. 감사관실 옴부즈만위원회도 5년 동안 위원회를 단 두 차례 열었다. 2016년과 올해 5월이다.
건설과는 지역건설산업발전위원회를 운영 중인데 2014년 11월 25일 회의가 마지막이다. 기초소하천관리위원회 역시 2015년 11월 17일 한 차례 회의를 열었고, 이후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 위원회 모두 서면으로 심의했다.
안전총괄과 안전관리위원회도 지난 5년 동안 모두 5차례 위원회를 열어 모두 서면으로 심의했다. 체육지원과 역시 체육기금운용심의위원회는 기금 계획과 결산을 심의하는 위원회지만 모든 심의를 서면으로 진행해 왔다.
양산시 기획관실은 “해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위원회 대부분이 법령이나 조례로 규정하다 보니 부서별로 재정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