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시행한 제23회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이 2011년 36.7%에서 약 2.4배 증가한 86.7%로 조사됐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 이용률도 지난해 66.2%에서 올해 81.9%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고정형 미디어인 텔레비전은 2011년 97.6%에서 2018년 93.1%로, PC를 통한 인터넷 이용률 같은 기간 64.7%에서 45.4%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와 같은 경향은 미디어별 뉴스 이용률에서도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은 2011년 19.5%에서 2018년 80.8%로 4배로 증가했지만 PC 인터넷의 경우 2011년 51.5%에서 31.7%로 하락했다.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지난해보다 각각 5.2%, 1.9% 상승했다.
종이신문 열독률은 1996년 85.2%에서 2017년 16.7%로 1/5 수준까지 꾸준히 감소했으나, 2018년 조사 결과 17.7%로 1.0%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지난 일주일간 신문기사를 5가지 경로(종이신문, PC, 모바일, 일반 휴대전화, IPTV 등) 가운데 1가지 이상에서 이용했다는 응답 비율인 ‘결합 열독률’은 전년 대비 0.6% 상승했다. 최근 5년간 결합 열독률(2014년 78.0%, 2015년 79.5%, 2016년 81.8%, 2017년 79.0%, 2018년 79.6%)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종이신문 열독률 하락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신문기사를 이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일주일간 포털사이트를 통해 뉴스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76.0%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포털이 언론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도 62.0%로, ‘언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 23.4%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 행태를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률은 33.6%로 종이신문 열독률 17.7%의 2배에 가까운 비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