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경남도, 2022년까지 상용직 일자리 12만6천여개 만든..
정치

경남도, 2022년까지 상용직 일자리 12만6천여개 만든다

홍성현 기자 redcastle@ysnews.co.kr 입력 2019/01/15 09:06 수정 2019.01.15 09:06
■ 경남도 일자리 종합대책 발표
민선 7기 10조3천여억원 들여
좋은 일자리 프로젝트 청사진
5대 핵심전략ㆍ20개 중점과제
산업ㆍ지역별 고용 로드맵 제시

경남도가 2022년까지 총사업비 10조3천296억원을 들여 상용일자리 12만6천여개를 포함한 29만2천여개 일자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문승욱 경제부지사는 지난 1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민선 7기 4년 동안 추진할 ‘경남도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경남도정 중심에 ‘일자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경남도는 일자리 종합대책 수립 TF 회의, 일자리위원회 자문, 시ㆍ군 등 관계기관, 각계 전문가 등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경남도 노사민정협의회의 심의를 거쳤다.

↑↑ 문승욱 경남도 경제부지사가 지난 10일 민선 7기 4년 동안 추진할 ‘경상남도 일자리종합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경남도를 4개 권역으로 나눠 지역별로 특화한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양산시민신문


경남도 일자리 종합대책은 ‘도민에게 희망 주는 좋은 일자리 제공’을 비전으로 ▶스마트 일자리 확산 ▶맞춤형 일자리 강화 ▶사회적 일자리 확대 ▶SOC 일자리 확충 ▶일자리 생태계 조성 등 5대 핵심전략과 20개 중점과제, 68개 세부 추진과제를 담았다. 특히, 이번 종합대책에는 김경수 도정 4개년 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산업ㆍ지역별 고용실천 전략을 함께 포함했다.

정책대상별로 보면 청년 일자리 3만7천개, 여성 일자리 4만9천개, 어르신 일자리 5만1천개, 장애인 일자리 3천개, 취약계층 일자리 1만3천개, 신중년 일자리 2천개, 소상공인 일자리 8천개, 전 연령층 일자리 12만9천여개를 지원한다. 특히, 전체 재정 지원 일자리 가운데 상용직 일자리 비중을 2018년 기준 31.3%에서 2022년까지 43.2%까지 높여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데 초점을 뒀다.

5가지 핵심전략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를 기반으로 한 제조업 혁신으로 스마트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나간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스마트산단 조성, 스마트 물류, 스마트 팜ㆍ양식 등 스마트산업 육성을 선도한다. 해마다 500개 이상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기금 200억원을 조성해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연간 1천명씩 전문 인력을 육성한다. 또한, 창원국가산업단지는 정부 시범 스마트산단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하고, 김해대동첨단산업단지 등 신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스마트산업 클러스터와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을 검토ㆍ추진한다.

경남의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해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경남에 기반한 창업투자회사를 설립하고, 창업투자펀드를 조성한다. 경남 허브 메이커 스페이스(Maker’s Space) 구축 등을 통해 창업플랫폼을 확대하고, 청년창업사관학교 유치, 혁신 창업 붐 조성 등도 추진한다.

둘째, 청년ㆍ여성ㆍ노인ㆍ신중년 등 정책대상별 맞춤형 일자리를 강화한다. 청년에게는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청년공제사업을 통한 장기근속을 유도한다. 또한, 청년 구직활동 지원 등을 통해 청년고용 부조화를 해소하고 청년들이 도내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둔다. 여성에게는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양성평등과 워라벨(Work-life balance) 문화를 확산하며, 좋은 여성 일자리 확대에 주력한다. 신중년에게는 인생이모작지원센터를 설립해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한 뒤 재능을 사회에 기부하거나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중년의 경험과 재능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고 필요로 하는 수요처에 연결ㆍ알선하는 것은 물론, 신중년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재취업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노인 고용ㆍ복지체계 운영 강화, 장애인 사회활동 지원과 자활 역량 제고도 적극 추진한다.

셋째,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새로운 사회적 일자리를 계속 발굴하고 지원을 강화한다. 사회서비스원을 설립해 돌봄 등 공공사회 서비스 책임성을 강화하고, 양질의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확대한다. 2021년까지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을 설립해 통합지원 체계와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을 확대하고 사회적ㆍ마을기업을 육성해 나간다. 세계 소비형태 변화를 반영한 공유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공유경제 모델을 발굴ㆍ확산하고, 연구개발(R&D) 장비부터 공동으로 활용하는 플랫폼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소상공인과 고용ㆍ산업위기지역의 위기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정책과와 노동정책과를 신설했고, 고용안전망을 구축해 희망근로사업, 실직자 재취업 지원, 일자리안정자금 지원, 1인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지원, 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 운영 등 고용안전망을 강화해 도민 삶의 질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넷째, 대규모 사회기반시설과 지역밀착형 생활SOC 투자사업을 통해 민간 부문 SOC 일자리 확충에도 박차를 가한다. 서부경남 KTX 조기 착공을 계기로 다각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을 추진해 나간다.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어촌뉴딜 300사업을 조기에 추진하고, 국민생활과 밀접한 문화ㆍ체육ㆍ편의시설, 도시숲 조성, 신재생에너지 시설 등 생활SOC 사업을 추진해 파생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창원국가산단ㆍ진주상평공단ㆍ양산일반산단 등 노후 산단은 재생사업으로 고도화해 기업활동을 지원하고, 도로망 건설사업과 양산도시철도 건설을 통해 지역 일자리를 확대한다. 대형신항(Mega-Port) 건설과 항만물류 연구센터 설치 등을 통해 물류산업 전진기지를 구축하는 한편, 경제자유구역 내 기반시설을 착실히 조성해 기업 유치에도 노력한다.

다섯째, 신산업 규제 샌드박스(sand-box)를 도입해 규제를 혁신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과 여건을 만드는 일자리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지난 12월 13일 <경남도 일자리 창출 지원 조례>를 제정ㆍ공포한 데 이어, 기업ㆍ노동자ㆍ농민ㆍ여성 등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하고 대화와 타협, 양보와 협치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일자리 대책 콘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고용ㆍ복지 원스톱 전달체계 구축과 경남경제진흥원을 설립해 일자리 사업, 소상공인 지원사업, 경제정책 분석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기틀을 마련한다.

ⓒ 양산시민신문


이 밖에 경남도는 김경수 도정 4개년 계획의 성공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해 산업ㆍ지역별 고용실천 전략을 마련했다. 제조업 스마트 혁신, 조선해양산업 구조 고도화,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 나노산업 성장기반 조성, 세라믹산업 육성, 항노화산업 성장기반 강화 등 12개 산업별 고용 실천전략이다.

또한 산업별 전략에 기반해 제조업 스마트 혁신, 문화ㆍ관광산업 활성화, 사회적ㆍ마을기업 인큐베이팅 강화 등 도내 전 지역에 적용할 4가지 공통 전략을 도출하고, 창원ㆍ밀양 중심의 중부권, 진주ㆍ사천 중심의 서ㆍ북부권, 통영ㆍ거제 중심의 남부권, 김해ㆍ양산 중심의 동부권으로 권역별로 특화한 지역별 고용실천전략도 수립했다.

경남도는 중기계획인 종합대책 실효성 확보를 위해 해마다 종합대책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올해는 2월 말까지 2019년 시행계획을 만들어 공시할 계획이다. 또한, 대책이 현장에서 실제 작동해 도민이 피부로 체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2019년도 일자리사업비를 상반기에 65%까지 조기 집행하고, 국비 등 공모사업 예산 확보에도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아울러, 경남도는 대책 사후관리를 위해 일자리대책본부장(경제부지사)이 주재하는 이행상황 점검회의를 분기별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일자리위원회에 보고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대책 실효성 확보를 위해 반기별로 이행상황을 현장 점검하고, 평가를 통해 우수사례를 발굴ㆍ확산하는 한편, 우수 부서ㆍ기관에는 인센티브도 지원할 계획이다.
문승욱 경제부지사는 “무엇보다 이번 대책은 주력 산업 침체에서 촉발한 고용위기 극복에 우선하고, 4차 산업혁명 기반 제조업 혁신을 통한 경남형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