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일반산단은 어곡동 산 364-7번지에 (주)제씨콤 외 2개 민간업체가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것으로 면적은 10만3천546㎡다. 현재 자연녹지지역으로 산단으로 개발할 경우 1차금속제조업(C24)과 금속가공제품제조업(C25), 전기장비제조업(C28)이 입주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산업용지 수급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최종 협의를 거쳐 14개 산단, 전체 520만㎡ 규모 산단을 새로 지정해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경남도는 입지여건 분석과 입주 수요, 재원조달계획, 사업시행자 자격요건 등을 종합 고려해 산단 신청지구 17곳 가운데 14곳을 산단 개발지역으로 지정했다. 덧붙여 자금 부족, 입주 수요 부족 등으로 사업이 부진한 점을 감안해 공공개발이나 민관합동개발, 100% 실수요자 개발 지구를 우선 지정했다고 말했다.
산단 지정 소식에 그동안 용선산단을 반대해 온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반대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용선산단 개발 소식이 처음 전해졌을 당시 주민들과 함께 반대 운동을 펼쳐온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앞으로 기자회견 등을 통해 본격적인 반대 운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오는 18일 총회가 예정돼 있는데 용선산단과 함께 산막산단 4공구 개발 문제를 함께 논의할 예정”이라며 “두 곳 모두 천주교 기념성당과 수녀원, 양로원 등 종교시설이 있는 데다 생태환경도 산단으로 적합한 위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들은 “갑자기 전해진 소식이라 아직 구체적인 대응책을 갖고 있진 않다”며 “앞으로 천주교측과 함께 논의해 반대 투쟁을 펼쳐나갈 것 같다”고 덧붙였다.
![]() |
ⓒ 양산시민신문 |
산단 조성을 반대하는 용선마을 주민들도 환경단체와 힘을 모아 적극 대처할 예정이다.
한 주민은 “어곡은 이미 공장이 포화상태이고, 환경을 이유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학교까지 이전한 곳”이라며 “계곡형 분지에 1급 생태지역까지 포함된 곳에 산업단지를 승인하는 것은 행정이 죄를 짓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는 “양산시가 2020도시기본계획을 세울 당시만 해도 이곳은 산단 부적합 지역으로 의견을 내놓고 2030 계획으로 바꾸면서 난개발을 촉진하고 있다”며 “산단이 들어설 경우 결국 어곡 전체가 사람이 더 이상 거주할 수 없는 곳이 되는 만큼 꼭 산단을 조성하겠다면 용선과 화룡 등 마을 이전 대책부터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2월 용선산단 개발 소식이 전해지자 주민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어곡마을은 이미 어곡산단, 양산산단, 유산산단에 개별공장까지 많은 공장이 있는 곳인 데다 어곡제2산단 공사까지 진행하고 있는 곳”이라며 “용선산단 부지는 북쪽에 위치한 에덴밸리 리조트와 신불산 공원묘지, 천주교 부산교구 등과 다른 산단 시설들을 분리하는 완충지역 기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단 부지와 경계하는 지역 생태등급이 1등급인 지역”이라며 “산단 조성으로 주변 우수한 자연환경이 훼손될 우려가 있어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 입지 타당성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곳”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깊은 계곡형 분지에 산단이 들어서면 계곡을 따라 하천은 물론 공기와 수질, 토양 오염뿐만 아니라 주민에게 누적된 피해를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어곡마을 경우 어곡초등학교가 학교 주변 환경문제를 이유로 이전을 할 만큼 환경오염 우려가 높은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