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에게 감면 혜택을 주는 것은 우리 병원(양산부산대병원)이 개원하기 전인 2007년, 본원(부산대병원)과 부산시와의 협약을 통해 이뤄진 내용이다 보니 그동안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았다. 이번 일을 계기로 양산시민에게도 혜택을 줄 방법을 내부에서 논의하고 있다”
최근 불거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다자녀 가정 감면 혜택 논란에 병원측 해명이다. 부산대병원은 부산시와 협약을 통해 ‘부산가족사랑카드’ 가맹점으로 등록했다. 이에 따라 세 자녀 이상 가정에 일부 비급여 항목 진료비 10%를 할인한다. 본원이 협약을 맺으면서 자동으로 양산부산대병원도 같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양산시민의 불만이 크다. 엄연히 ‘양산’부산대병원인데, 부산시민에게만 혜택을 주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이유다. 사실 다자녀가정만 해당하는 혜택이라 감면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그리 큰 혜택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양산시민이 양산부산대병원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상황에서 지역사회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 양산부산대병원은 2008년 개원 이후 각종 시설 확충 등에 양산시 지원을 받아왔다. 하지만 정작 지역사회 환원사업에는 인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양산시의회는 이런 문제를 수차례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양산시민 주차요금 감면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다.
양산부산대병원이 뒤늦게 양산시민 혜택 방안을 논의하겠다고는 했지만 지난 11일 노환중 병원장 이임 이후 병원장이 공석인 데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병원 재정 적자를 이유로 각종 혜택을 줄이라는 취지의 지적이 나오면서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부산도시철도 2호선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부산교통공사는 다자녀가정에 대한 이용요금 50%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08년 제정한 부산시 조례에 따른 것인데, 부산시민만 해당한다. 당연히 혜택을 받을 것으로 생각한 한 양산시민이 다자녀 승차권을 구매했다가 부당 행위라는 이유로 죄인 취급을 받으면서 요금의 30배에 달하는 과징금 3만원을 냈다고 한다. 양산과 부산을 오가는 도시철도를 타면서 양산시민이라고 차별을 당한 셈이다.
양산시민 입장에서는 불쾌한, 어쩌면 황당하기까지 한 상황이 벌어지자 비난의 화살은 양산시와 지역 정치권으로 향하고 있다. 부산시민에게만 혜택을 준다고 비판할 것이 아니라, 한발 먼저 앞서 양산시민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고민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철도 혜택의 경우 논란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3년에도 같은 문제로 이미 논란이 불거졌다. 당시 양산시는 다자녀가정의 도시철도 지원책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5년이 지난 지금, 답변은 변한 게 없다. 부산시 정책에 따른 것이기에 양산시 다자녀가정에 대한 혜택은 어렵다. 다만, 기회가 된다면 부산교통공사와 소통을 통해 방안을 마련해보겠다는 것이다. 이래저래 행정력과 정치력이 아쉬운 대목이다.
양산시민의 불만은 충분히 타당하다. 좋은 것은 내 것, 싫은 것은 네 것의 문제가 아니다. 양산부산대병원과 부산도시철도가 부산시와 양산시 모두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부산시민과 양산시민을 차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양산시와 양산시의회 등 행정과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른 시일 안에 가시적인 결과물이 나오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