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원도심 지반침하 직접 원인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주상복합아파트 건축공사 현장. 해당 현장은 지난해 8월 터파기 공사를 하던 중 지하수가 터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
ⓒ 양산시민신문 |
|
옛 시외버스터미널 자리에 건설 중인 주상복합아파트 공사가 원도심 지반침하를 촉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주 본지가 원도심 지반침하가 급격한 지하수 수위 저하와 맞물렸다는 사실을 보도하자 양산시의회는 양산시에 해당 공사를 즉각 중지하게 할 것을 요구했다. 이후 양산시는 시공사측에 공사 중지를 요구했고, 시공업체는 15일부터 지하수를 빼는 공사를 중단했다.
공사를 중단하자 곧바로 지하수 수위에 변화가 생겼다. 여기서 말하는 수위는 지표면에서 지하수 표면까지 거리다.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지하수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 따르면 14일 자정 11.29m였던 수위가 15일부터 급격히 회복하기 시작했다. 15일 자정 9.37m에서 16일 자정 7.98m까지 회복했다. 이후 계속해서 수위가 회복하더니 지난 19일 오후 3시 기준으로 5.01m를 기록했다. 현재도 수위는 계속해서 회복하고 있다.
결국, 지하수 수위 관측자료는 주상복합아파트 공사를 지하수 수위 변동 원인으로 지목한 셈이다. 만약 아파트 공사가 지하수 수위 변동의 직접 원인이라면, 결과적으로 아파트 공사는 원도심 지반침하의 단초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양산시 안전총괄과는 “아직 원인 규명 조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구 책임인지 섣불리 이야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양산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
 |
|
ⓒ 양산시민신문 |
|
한편, 이번 원도심 지반침하 문제와 관련해 행정 부서별 대응이 엇갈리고 있다.
먼저 콘트롤타워라 할 수 있는 안전총괄과는 민간과 공공기관 피해사례 파악에 나섰다. 피해사례는 모두 21건을 접수됐다. 안전총괄과는 피해 가운데 공공시설에 대해서는 안전진단을 모두 시행하기로 했다. 민간시설에는 안전진단을 권고했다. 원인 규명을 위한 학술용역 계약은 조만간 체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상복합아파트 공사를 담당하는 건축과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아파트 공사를 중지했다. 하지만 전체 공사 중단은 아니고, 지하수 배수에 관한 부분만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또 다른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
문신우 양산시의원(민주, 중앙ㆍ삼성)은 “현재 지하수와 관련해 (아파트 시공 업체가) 지하 부분 외벽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지하 공사 공법을 바꾸는 것인데, 이는 자신들이 지하수 수위 저의 원인이라는 흔적을 지우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질 때까지 지하수 배출 공사뿐만 아니라 주상복합아파트 관련 공사 행위를 일제히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양산도시철도 공사와 관련해서는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 담당 부서인 지역재생과는 “의회에서 우리 쪽에 공사 중지를 정식으로 요청하지 않았다”며 “우리도 공사 중지를 요청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공사 중지를 요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원인 규명이 안 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