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사 과정에서 지하수가 유출돼 터파기 공사장에 물이 가득 고여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원도심 지반침하 원인 제공자로 지목받는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 주상복합아파트 공사가 사업 강행이냐 중도 포기냐를 선택해야 하는 갈림길에 섰다.
지하 터파기 공사 과정에서 발생한 지하수 유출로 공사가 1년 6개월 이상 지연돼 ‘계약 해지’ 사유가 발생한 것. 이에 기존 입주 예정자(계약자)들은 오는 31일까지 계약 지속 또는 해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계약 해지가 많을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
해당 주상복합아파트 시행사와 시공사(이하 업체)는 이 같은 내용으로 지난 11일 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주민설명회를 진행했다. 입주예정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체측은 그간 공사 과정을 설명하고, 지하수 유출 문제로 공사가 1년 6개월가량 늦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업체측은 “입주가 애초 예정일보다 3개월 이상 늦어진 만큼 입주 예정자들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사유가 발생했다”며 “이달까지 계약을 계속할 건지, 아니면 해지할 건지 결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다만, 지하수 유출과 연약지반 등의 문제가 해당 건물 안전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입주 예정자들을 안심시켰다.
하지만 업체측이 “계약 해지가 가능하다”고 설명하자 입주 예정자들은 동요했다. 특히 지금 계약을 해지할 경우 업체측으로부터 받는 위약금과 가산이자 등이 약 2천600만원에 이른다고 설명하자 입주 예정자들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었다. 계약을 계속 유지하고 공사가 1년 6개월 이상 지연되지 않을 경우 받는 지체상금(약 2천30만원)보다 보상 액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 |
↑↑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입주예정자들이 시행사와 시공사를 규탄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한 입주 예정자는 “지금 해지하면 2천600만원 가까이 받고, 계약을 유지하면 언제 받을지도 모르는 돈, 그것도 500만원 이상 적게 받게 되는데 누가 계약을 유지하겠냐”며 “결국 업체가 이 공사를 진행하겠다는 의지가 없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입주 예정자 역시 “정말 공사를 제대로 마무리하고 싶다면 계약 해지보다 계약 유지가 더 낫다는 걸 보여줘야 하는데, 지금 상황이면 당연히 계약을 해지하는 게 유리하지 않냐”며 “만약 계약 유지가 10% 이내라면 어떻게 할 생각인 거냐”고 묻기도 했다.
업체측은 계약 유지율이 10%가 안 되더라도 공사는 강행한다는 입장이다. 시행사측은 “계약 해지가 많아도 공사는 강행할 것”이라며 “안 되면 후분양 형태로라도 공사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후분양제로 가면 더 높은 분양가를 받을 수 있는 만큼 우리도 그게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며 사업 강행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주상복합아파트 사태가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원도심의 경우 터미널 이전 등으로 오랜 기간 상권 침체를 겪는 상황에서 주상복합아파트 건축이 인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만약 해당 사업이 중도 포기 또는 계속 지연될 경우 이와 같은 효과는 점점 기대하기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 주민설명회에서 한 입주예정자가 질문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