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화 이전에 주차타워 건설 등 시설 개선을 통해 주차 공간 마련을 먼저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공무원노조가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 공무원은 “솔직히 주차장 부족 문제가 어제오늘 일은 아니었고,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점은 직원이나 민원인이나 똑같은 생각”이라며 “그런데 그 방법이 하필 유료화라는 게 아쉬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단순히 주차요금을 받는다고 불만인 게 아니라 열심히 일하는 직원들 사기를 꺾는 행위니까 불만이 생기는 것”이라며 “더운 여름 민원을 처리하고 겨우 사무실로 돌아왔는데 또 주차할 공간이 없어 저 멀리 차를 세워야 하는 현실이라면 솔직히 어떤 마음으로 민원인을 대하게 될지 불 보듯 뻔하지 않겠냐”라고 덧붙였다.
공무원노조 홈페이지 자유게시판도 난리다. 한 게시물에는 “문화예술회관을 비롯한 본청 인근 모든 주차장을 유료화하는 게 아니라면 그 효과는 사실상 크게 기대하기 힘들고 직원들만 큰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며 일부 유료화는 결국 ‘풍선효과’만 낳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해당 게시물에 달린 한 댓글에는 “일찍 오는 새는 멀리 떨어진 곳에라도 차를 세울 수 있지만 아이 유치원, 어린이집에 데려다주고 조금 늦게 오는 직원들은 결국 아무 곳에도 차를 세울 수 없게 되는 것”이라며 육아를 하는 부모들에겐 점점 더 일하기 힘든 환경이 돼 간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댓글 역시 “근본적인 대책 없이 (유료화를) 추진한다는 게 너무 기가 찬다”며 “주차장 확장 없이 유료주차를 추진한다면 부서별 공무차량 대수라도 증차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시의회 의원과 기자단 등 일부 집단에 대한 주차요금 감면 혜택을 두고도 말이 많다. 공무원노조 홈페이지에는 “시의원, 기자 할 것 없이 모두 유료화해야 한다”, “차 굴리는 사람은 다 요금 낼 능력 있다. 면제와 감면 모두 없애야 한다”며 비판 의견이 줄을 잇고 있다.
양산시는 공용차량과 시의원 차량, 긴급자동차 등 일부 차량에 대해 주차 요금을 면제할 예정이다. 또한 출입 기자단 경우 월 주차 요금을 50% 감면할 계획이다.
한편, 양산시는 본청과 별관, 양산시의회 건물 일대 주차장을 오는 7월부터 유료화하기로 했다. 시청을 찾는 민원인이 주차 어려움을 호소하자 이를 해결하려는 조처다.
이달까지 유료화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고 두 달 동안 시범운영을 거쳐 7월 1일부터 유료로 운영할 계획이다. 현재 계획 요금은 최초 1시간 무료다. 1시간 초과 후에는 15분마다 소형 200원, 대형 400원의 요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하루 최대 주차요금은 소형 6천원, 대형 1만2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