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는 지난 14일 중앙동행정복지센터에서 지반침하 관련 현황을 설명하고 주민 애로를 청취했다. 간담회에는 김일권 양산시장은 물론 서진부 양산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들도 함께했다.
ⓒ 양산시민신문 |
양산시는 “현재 매일같이 해당 공사장 피압수량을 조사ㆍ확인하고 있다”며 “지반침하 이후 공공건물은 안전진단을 마쳤고, 민간건물 역시 정밀안전진단을 권고하는 등 필요 조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특히 주민 불안을 의식한 듯 “전기와 가스, 통신,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에 대한 전수 조사로 철저한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시로 진행 상황을 보고드릴 테니 다소 불안하겠지만 행정을 믿고 난관 극복을 위해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
원인 규명에 대한 용역에 대해서는 최소 수개월 이상 시일이 필요하다며 주민에게 양해를 구했다. 김 시장은 “솔직히 용역이 몇 개월이 걸릴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용역을 통해 분명히 (지반침하) 물증을 잡아낼 것”이라며 “일단 물증부터 잡아야 피해보상 방안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도 조속한 원인 규명과 적절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 지반침하 아파트 대책위원장은 지반침하 원인조사 방법에 대해 물었다. 용역을 담당한 임종철 부산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지반조사를 기본으로 지층상태 분석과 성질 조사, 투수성 분석, 지하수 수위 변화(주상복합아파트 공사장과 비교), 기본자료 분석 등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지표면에 조사지역 88곳을 선정하고 해당 지점에 지표수 검사 장비를 설치한다. 이 가운데 10곳은 암반층까지 구멍을 뚫어 지하수 수위 등을 조사한다. 현재 지반침하 정도와 원인 분석은 물론, 앞으로 지반침하 진행 여부도 확인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양산시 설명에도 주민은 불안한 듯 질문을 이어갔다. 조사 기간에 인명피해 등 직접적인 피해와 손해가 발생할 경우 누가 책임질 건지, 지반침하에 따른 주택 파손 보상은 가능한 건지 물었다. 일부 주민은 이주 대책 수립까지 요구하기도 했다.
특히 조사 기간 지반침하가 계속돼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누가 책임질 것인가를 묻자 김일권 양산시장은 “밥 먹다가 체한 것도 시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며 “실제 그런 마음으로 이 문제에 대처하고 방법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지반침하로 건물 균열 등 피해를 본 아파트 대부분이 30년이 넘은 만큼 이번 기회에 재개발할 수 있도록 양산시가 허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편, 서진부 의장은 인사말에서 “부끄럽고 미안한 마음”이라며 안타까움을 대신 표현했다. 서 의장은 “1시간이라도 빨리 해결책을 찾는 게 중요하다”며 “주민들 편에서 집행부를 돕고, 우리 의견을 내면서 문제 해결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고 약속했다.